느영나영 참살이 삶과 유기농 먹거리 농사와 삶의 결과물에 대한 나눔,,, 토종 씨앗 나눔,, 묘종 나눔,, 제주 자연 유기농밥상 나눔,, 제주 흑 돼지 한마리 나눔,, 아무런 조건 없이 나눔,, 곡간 농장의 먹거리 나눔,, * 2009년 5월 23일 토요일 제주시 용담 레포츠 공원 제주 보육협회가 주관하는 단오제행사에서 제주 아이연대와 묘종과 종자 나..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09.05.20
작은 호기심이 세상을 바꾸어 간다. (111) 창포,,, 다른 식물의 꽃보다 화려하게 피지만 빨리 끝을 맺는 것이 아쉬움으로,,, 자연관찰이 이루어지는 생태연못,, 창포는 흡비력이 강하여 생태연못과 생활 오폐수 자연 정화수로에 창포을 많이 식재하여 물을 정화 식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생태연못에 수련이 일찍 꽃을,, 연들은 지금에야 잎사..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09.05.15
풀의 문제는 풀을, 벌래는 벌래을 키우고, 밭갈이는 안하면 된다.(110) 스물한번째 이야기 풀을 잡기위하여 풀을 없애려는 사고가 아닌 풀을 키우면서 상생의 길로 찾는 것이 마음편하고 제일쉬운 경험 이었습니다. 벌래을 잡기 위하여 살충재나 천연농약을 찾아 헤매는 것보다 차라리 벌래을 키우는 농사을 생각하면서 공존공생이 제일쉬운 경험 이었다봅니다. 풀과 상.. 밭 만들기 2009.05.04
삶을 영상으로 담다. 통밀 빵 만들기 시연을 통하여 우리밀과 통밀가루의 영양적 가치와 주식이 되어지는 빵만들기 방법을 제시하는 모습입니다. 통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통밀빵입니다. 야콘을 밭 갈이와 공장형 비료없이 벌래을 키우고, 풀을 키우는 농사을 보여 드리는 모습입니다. 자연순환 농사가 미래에 대안적인 .. 카테고리 없음 2009.05.03
주말 농장 이렇게 하면 자연과 줄기면서 쉽게 할수가 있습니다. (109) 텃밭 스무번째 이야기 먹거리에 대한 걱정과 건강에 대한 불안감으로 작은 텃밭을 일구어 먹거리을 직접 키워먹는 도시농업이라는 주말농장이 대단한 인기몰이 중입니다. 5평, 10평의 작은 텃밭이라도 밭갈이와 풀제거하는 김매기, 병충해방제와 비료에 대한 고민들로 인하여 포기도 많고, 힘들다고 .. 밭 만들기 2009.05.01
현직 교사님들과 함께하는 흙(土)과 먹거리(食), 건강(體) 교류 (108) 현직 교사님들과 함께하는 흙(土)과 먹거리(食), 건강(體)에 대한 교류하는 현장체험입니다. 밥 80%와 반찬 몇가지을 곁들여 먹던 전통밥상(유기농밥상,참살이 밥상)을 완전히 무시하고, 옛날 1%인 임금님과 고관들의 먹었던 백미와 반찬이 주식이 되고 밥이 30%도 안되는 반찬상을 밥상이라하여 차려 먹.. 건강과 생태 이야기/농장 & 농촌체험 교육농장 2009.04.30
돼지 독감과 읍내 목욕탕의 관계는, 나는 3,500원을 벌지 않았도 된다(106) 토요일 낮에 잠간 짬을 내어 아내와 가까운 읍내 목묙탕에 다녀 왔습니다. 시내 근사한 사우나나 찜찔방에 비하여 초라하지만 씻고 따뜻하게 목욕하는 데에 가격대비에 맞는 것 같아 가끔이지만 이용하는 읍내 목욕탕입니다. 낮이 되었는데도 저가 첫 손님인지 아무도 없어 때마침 갖고간 카메라로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09.04.27
자연밥상(여섯번째) "하얀 쌀밥은 다이어트에 적이다" 아니다(105) 여섯번째 이야기 "하얀 쌀밥이 살을 찌게하는 다이어트에는 적이다" 아니다. "지금의 유기농, 참살이밥상이 현대인들의 식습관과 건강하게 사는 대안의 밥상이다" 아니다. 쌀의 영양분을 거의 제거하여 먹고서 엉뚱하게 쌀밥이 다이어트에 주범으로 내 모는 행위는 집단테러 정도가 아니라 왜곡이며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09.04.26
텃밭(열아홉번째) 80살 나이가 되어도 호기심 많은 젊은이가 되자 (104) 텃밭 열아홉번째 이야기 좋은 먹거리란 생명체들이 많이 살아가는 자연의 흙에서 자연생명의 유기물을 영양으로 오랜 시간 키워진 약초 같은 작물일 것입니다. 자연 숲의 산삼은 못 되어도, 도라지는 못 되어도, 더덕은 못 되어도, 약초나 산나물에 근접한 작물로 키워 먹거리로 먹으려는 삶이 되고 .. 밭 만들기 2009.04.25
자연밥상 (다섯째) 밥은 우리의 문화며, 삶이며, 건강의 샘이다. (103) 자연밥상 다섯번째 이야기 올바른 밥상 이해을 위하여 지금까지의 식생활 교육이 아닌 새로운 교육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주부들이 반찬상과 밥상을 구분 짓지 못하고 있으며, 밥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옛날 임금님 수락상이 잘 먹고 잘 사는 밥상으로 인식하여 너나 할 것 없이 임금님 수..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0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