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오일장 구경하고 가세여 어제 3시까지 씨앗작업을 대충마치고 새우젖이 필요하여 잠시 다녀 왔습니다 제주시 오일장입니다. 2일, 7일, 12일,5일마다 열리는 제주에서 제일 큰 장입니다. 공항에서 10분거리의 신제주 도심권에 위치하여 쉽게 찾아 갈수가 있습니다. 이런저런 삶 이야기 2009.03.28
봄, 봄, 봄 배추 꽃입니다. 김장배추 담고 남은 어린 배추는 눈맞은 배추로 겨울동안 먹고남은 배추는 봄에 꽃을 피워 나비들을 불러드립니다. 100포기의 배추을 심어 90포기는 김장배추와 쌈배추로 먹고, 10포기는 꽃을 피도록하여 나비을 불러들여 벌래들과 나눔하는 것입니다. 벌래을 키우는 농사을 위하여 꽃.. 자연유기농 작물과 현장 2009.03.27
파도가 아름다운 곳에서 수원리 해안가에서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제주 공항에서 서쪽으로 30분거리,, 곽지 해수욕장과 한림항 근접한 곳, 한림 한수리에서 귀덕리까지 이어진 해안도로,, 검은색을 띠는 돌들과 푸른물, 그리고 하얀파도가,, 오후 늦은 시간 수원리 해안도로에서 비양도을 바라보면서,, 한림항 어선들과 갈매.. 이런저런 삶 이야기 2009.03.24
텃밭 (열세번째) 미생물 활용과 자연회복 (88) 열세번째 흙의 생명체을 죽이는 노선이 아니라,, 흙의 생명체들을 살리는 자연순환 노선으로 가고자 합니다. 오래전 아프리카에 에볼라 바이러스가 사람과 동물들을 압도하며 살생으로까지 이르는 자연이치에 벗어난 강한행위와 과학적인 대안의 한계로 인하여 세계학자들과 세계인들이 경악을 금.. 카테고리 없음 2009.03.23
텃밭 (열두번째) 미생물 발효배양과 음식물 쓰래기활용 대안 (87) 열두번째 미생물발효 배양은 텃밭이나 큰규모의 농지토양을 빠르게 자연 친화적인 회복을 시키는데에 활용도 가능하지만 도시, 농촌의 가정,시장,식당등 음식물을 자원화는 물론 환경적인 대안 처리에 있습니다. 인구 집중으로 인하여 농촌과 도시에서 심각하게 배출되어지는 생활쓰래기을 자연순.. 밭 만들기 2009.03.18
텃밭 (다섯째) 도시, 농촌의 자연 유기물이 흙을 살린다 (75) @ 사진속의 주인공은 2007년 여름 한국의 삶과 정서을 배우고 교류을 위하여 벌거벗은 공화국에 체류하면서 한국의 전통 유기재배 농사을 경험하였던 일본 남단 큐슈에서 온 히데기라는 젊은 대학생으로 지기 아내가 붙여준 별호가 "쌍코피"라 불였던 추억을 가지고 머무르는 한달동안 참살이 밥상을 .. 밭 만들기 2009.02.13
[스크랩] 토착 미생물 자가 배양하기(미생물 이야기 셋)~~23 자연 그대로 순환 되어지는 주변 숲속 바닥과 같은 자연 환경 조건에, 사람이 살고 가축과 작물들의 키워지는 곳에도 같은 자연 조건의 환경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살아 있는 흙으로 만들어 가는 데 주변 숲속의 토착화 되어진 다양성의 미생물을 옮겨 오는 것입니다,, 사람이 살고, 가축이 키워지고, .. 돼지 및 가축 2007.12.30
[스크랩] 미생물은 사람과 가축, 작물들에게는(미생물 이야기 둘)~~22 @ 미생물 발효통 밑 흙 바닥 위에 발효액을 흘린 후에 피어난 미생물들의 모습으로 20cm정도 높이까지 피어 올라가는 것을 보게 됩니다,, 물좋고 공기 좋고 좋은 먹거리가 있는 청정 농촌에서의 삶에 여러분은 얼마나 만족 하신지여? 27년전 22살에 농사에 대하여서는 무지에 가까운 상태에서 행정 기관.. 밭 만들기 2007.12.30
[스크랩] 미생물과 토양, 바닥 관리(미생물 이야기 하나)~~21(작물 닭 통합) @ 닭들이 살고 있는 계사는 인위적인 공간이지만 자연의 숲의 바닥과 비숫한 조건으로 미생물이 풍부하여 보실보실한 바닥을 이루고 있습니다. 닭을 키우다보면 배설물로 인하여 바닥 관리가 잘 되지 못하면 바이러스 같은 좋지 못한 미생물들이 과점하여 질병에 대한 문제와 매일 쌓이는 배설물 처.. 자연유기농 작물과 현장 2007.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