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창업]위험한 귀농보다 도시 창업도 대안이다 농촌 귀농이 어렵다면 도시에서 도시귀농, 도시농업 창업이다 (Organic Farm in City Association) 최근 귀농을 유치하기 위하여 지자체와 정부 지원이 많아지면서 최근 더 많은 귀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유로운 생활을 꿈꾸며 시작하는 귀농 생활이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분들도 있는 있지만 정..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3.04.09
산업 일자리 창출 실패를 새로운 일자리 만들기가 대안... 석유, 식량, 환경위기 시대에 미래형 일자리 창출- 1 Ofica 청년 실업문제와 노인 일자리 문제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선거 공약이 되고 수많은 정부의 정책은 답보상태에 있다. 왠만한 도시 인구의 100만이 넘는 고학력의 실업자를 해결한다고 매년 쏟아내는 정부와 정치권의 정책..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2.02.20
경쟁력을 갖추는 한국농업 농업 경쟁력- 4 Ofica 시설과 규모 확대로 대량 생산하는 농사는 완성했으나 가격이 높은 만큼에 비하여 소비자로부터 인정받아 팔리는 생산과 판매는 안 되고 있다.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사기술이나 정보의 부족으로 농산물 생산을 못 하는 것보다는 대부분 농가는 생산은 잘했으..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12
귀농과 농업의 성공은 농민 CEO가 되자 농업 경쟁력- 3 Ofica 정부의 대농 정책과 농가는 시설과 규모를 늘리면 소득이 높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되려 부채가 증가하면서 수입 농산물에 밀려 농촌이 난파된다고 난리다. 수출을 위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대규모 영농으로 생산한 수입 농산물에 가격에서 경쟁력이 없다는 정..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9
서울, 경기지역 귀농 유기농업교육 Ofica 카페 사과꽃님 공지 글입니다. 귀농과 도시농업, 소비자을 위한 자연순환농업 교육 공지합니다. 무 공장형 비료와 무 경운, 무 병충해 방제의 자연재배형 농사에 유기물을 순환하여 풀을 해결하는 석유 0%을 지향하는 자연순환농업 교육입니다. * 일시 : 12월 17일 토요일 오후 3..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7
귀농과 농가는 실패를 반복한다 농업 경쟁력- 2 Ofica 정부의 대농 정책과 농가들이 시설과 규모를 늘리면 안정된 소득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생각이 부채가 더 증가하면서 경쟁력이 약화하는 결과가 되었다. 정부와 농가가 수출을 위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농사 방법으로 경쟁력을 갖춘 외국 농업의 분석도 ..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5
귀농! 실패한 농업 '강소농'은 대안인가... 농업 경쟁력- 1 Ofica UR 협정에 이어 칠레 FTA, EU FTA에 이어 한미 FTA 때문에 도시와 농촌은 지금 서로 불신을 하면서 서로 옮다는 양반 된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수입 소고기 반대의 충돌에 이어 바람 잘 난 없는 FTA 충돌이 27% 식량 자급의 불안한 상황에 외국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3
TV 폭력과 자유가 없는 삶... 자유와 느림을 꿈꾸다. Ofica 잠자리에 들면서 9시 뉴스 직전에 많은 시청을 한다는 드라마를 보면 우리가 얼마나 폭력에 익숙하게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드라마 속에 큰 며느리의 시어머니와 친정어머니의 의심과 질투로 끊임없이 비난과 공격적인 모습이 가정의 ..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2
귀농하여 얻는 '농부의 행복' 행복을 찾는 귀농 Ofica 귀농을 준비하시는 분이나 갓 귀농하신 분, 길게는 5년, 10년 차의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어떤 방법의 농사'가 중요하다는 것을 재차 강조하고 싶다.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좋은 농산물 생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정보의..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1.01
자급자족하는 귀농과 다른 귀농 귀농은 회개다! '어떤 방법의 농사' Ofica '어떤 농사'를 '어떤 방법의 농사'를 준비하여 귀농 후에 농사를 잘 짓은 후에도 삶이 만족하다는 귀농 농가가 몇 %나 될까싶다. 지금 농촌의 삶을 보면 EU FTA에 이어 한미 FTA가 발효되면 수입농산물과 경쟁에서 밀릴 것이라는 미래 불안은 1~2..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