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교육 텃밭에 아이들과 채소을 심었습니다. 어린이집 아이들과 묘종심기 (9) Ofica 친환경ㆍ유기농밥상과 생태보육을 지향하는 27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들이 모인 생태보육협회가 제주에 있습니다. 2살부터 100여 명의 아이들과 10여 명의 교사님들이 있는 어린이집으로 원내에 수영장과 잔듸축구장, 놀이터와 함께 텃밭까지 원내에 갖추어져 있.. 도시농업 현장/어린이집 생태교육 텃밭 2010.05.15
생태교육 텃밭조성과 음식물쓰래기활용 주의 어린이집 유기농텃밭 조성 주의와 음식물쓰래기 (7) Ofica 생태교육 텃밭을 자연 유기농업으로 텃밭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소개 못하였던 내용과 참고할 주의점들입니다. 자연 유기농업에서 제일 중요하게 먼저 해야할 일은 작물을 키우는 농사 이전에 흙에 살고있는 곤충과 벌래, 작은 소동물, 미생물.. 도시농업 현장/어린이집 생태교육 텃밭 2010.05.13
부엽토로 간단히 텃밭 흙 살리기 어린이집 선생님들과 생태텃밭 흙 살리기 (6) Ofica 다양한 주변 숲에서 흙 부엽토을 채취하여 오는 것으로 흙 회복 준비을 마쳤습니다. 흙 부엽토 채취와 방법에서 대하여서는 앞서 연재의 5편과 앞으로 연재을 참고 하시면 과정을 다 같이 참여 하실 수가 있습니다. 밭 갈이와 병충해방재, 추비도 필요 .. 도시농업 현장/어린이집 생태교육 텃밭 2010.05.10
잠이 오는 상추는 있다? 없다? 밭에 토종씨앗 파종 Ofica 밤에는 쌀쌀하지만 낮에는 반팔 옷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이 보이는 따뜻한 날씨라 씨앗을 파종 하였습니다. 토종 옥수수와 단수수, 차조기, 수세미, 줄기콩등등 토종씨앗들입니다. 온통 세상이 휭휭 달리는 빠름에 빠져 살아 가는데에 누구을 탓하지는 못하겠지만 자연의 이.. 밭 만들기 2010.05.08
생태보육 어린이집 선생님 왜 토종씨앗 파종을? 어린이집 유기농텃밭 식재 씨앗파종 (4) Ofica 유기농텃밭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서 늦었지만 아이들이 모두 돌아 간 후에 늦은시간 선생님이 모여 토종씨앗을 파종 하였습니다. 몇 년동안 생태텃밭을 꾸리면서 어려웠던 밭갈이와 잡초제거, 음식물순환 한계에서 비닐을 제외한 순환적인 유기농텃밭의 .. 도시농업 현장/어린이집 생태교육 텃밭 2010.05.06
유기농업 초생재배 Ofica - Ofica 우기네님 질문- 제가 지금 감나무 묘목 200여주를 심어 놓았습니다 가을경에 호밀을 뿌려 내년봄부터 풀도 제압하고 호밀을 쓰러뜨려 퇴비로도 쓰려고 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이 모든것이 풀을 적으로 생각하는, 제압해야만 하는 상대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 풀이 자라는 과.. 밭 만들기 2010.04.27
농부의 성공은 느림이라는 여유의 자유적인 삶이다. Ofica 지금 한국농업에 혁명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농업에서 경영농업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점에 있습니다. 오랜 동안 한국농업은 농산물생산을 위한 농업정책 속에 농부들도 생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농업자금이나 농업교육들이 농업생산을 위한 쪽으로 집중이 되면서 농업 생산..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0.04.05
귀농하여 왜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가! Ofica 10년, 30년 경력의 농부들이 농촌이 무너진다 하며 투쟁하는 데모와 자식들은 절대 농부로 만들지 않겠다는 농촌과 농민들의 현재의 어려움에 대한 해결 대안 없이 귀농이나 귀촌하는 도시인들이 많은 것은 좋으나 3년을 못 버티고 떠나는 모습들이 안따깝습니다. 귀농정책들이 나오고 귀농교육이..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0.04.03
유기농업과 토종씨앗 (21) 유기농업과 토종씨앗 (21) Ofica 농사란 생명을 이어주는 씨앗을 키우는 것입니다. 농부 아들인 필자가 아직도 기억으로 남아 있는 것 중에 하나가 굶지는 않았지만 먹을거리가 여유가 없을 정도로 빠듯한데도 좋은 씨앗을 우선하여 남겨 두셨습니다. 어느 때인가 씨앗을 이웃에서 구하였지만 돈을 지불.. 밭 만들기 2010.04.01
'하인족'의 증가 Ofica 우리는 보통적으로 아이들 교육을 위하여 "고기을 잡아 줄것인가" "고기을 잡는 방법을 가르켜 줄 것인가"하는 말을 흔히 합니다. 부모들이나 선생님, 이 나라의 어른들은 한결같이 고기을 잡아 줄것이 아니라 "고기을 잡는 방법을 가르켜라"라 합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일상에서는 99%가 "고기을.. 도시농업 현장/外國 농업 현장 2010.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