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래기 44

7無의 유기농업은 생산량이 적다?

어린이집 텃밭 (24) Ofica 유기농업은 어렵기도 하지만 생산량이 무조건적으로 적다는 이야기들이 많은데 아직 생명살림의 참 유기농업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경험을 못한 생각이라 봅니다. 일반적으로 독점적인 한 품종의 작물을 키우는 것이 상식적이라면 자연 유기농업에서는 다양한 작물들을 혼작과 무비료 ,무경운으로 작물을 빠르게 다음 작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으로 생산을 높일 수 있는 여건만이 아니라 화석원료 절감, 노동력 절감, 환경보전, 기계와 비료 무투입등 환경적 가치의 생산도 높습니다. 토마토 밭에는 토마토만 키운다는 고정 관념을 버리지 않고는 생명살림의 자연 유기농업은 불가합니다. 토마토와 사람만이 존재을 지향하는 지금까지의 일반 관행농사나 친환경농업에서의 생산철학을 버릴 때에 자연의 모든생명들과 ..

생태교육 텃밭 수확과 파종

선생님들이 씨앗파종 (23) Ofica 5無을 지향하는 자연 유기농업에서는 수확과 동시에 묘종이 심겨지거나 수확전과 후에 씨앗이 파종이 바로 가능합니다. 일반농사나 친환경농사에서는 비료넣고 밭갈이을 해야 함으로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지만 자연 유기농업에서는 생략하여 바로 작물을 심겨질 수가 ..

유기농업에서 섞어짓기(혼작)는 필수

유기농업 섞어짓기는 필수이다 (14) Ofica 텃밭조성 이후에 아이들과 선생님들이 묘종과 씨앗이 심겨지는 텃밭 모습입니다. 농사나 작은 텃밭이라도 밭갈이와 잡초제거가 힘들어 포기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병충해방재와 비료확보 문제까지 더해져 농사는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자연순리에 따른 농..

생태보육 선생님들의 텃밭가꾸기

생태보육 교사들이 유기농텃밭가꾸기 (13) Ofica 아이들을 하루종일 돌보고 5시쯤 집으로 아이들을 보낸 후 퇴근 전의 시간을 이용하여 매주 텃밭가꾸기에 참여하고 계십니다. 바깥활동 시간에 아이들이 심은 씨앗들이 자라는 모습들을 통하여 생태교육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계속이어 지기 위하..

고사리 손으로 씨앗을 심는 아이들과 TRIZ

어린이집 아이들이 토종옥수수을 심다(11) Ofica 6살 이상의 아이들은 상추을 심었습니다만 5살 아이들은 선생님들의 도움으로 토종옥수수 씨앗을 심었습니다. 어린이집 아이들이 연령에 맞는 텃밭농사에 참여을 위하여 선생님들 의견에 따라 큰 아이들은 채소심기, 5살 이하 아이들은 싸앗 파종을 하였..

텃밭으로 음식물과 화장실휴지, 정원쓰래기 활용

어린이집 원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과 각종 유기물활용 텃밭 (10) Ofica 어린이집 생태교육 텃밭이 조성을 마치고 작물들이 심겨지기 시작 하면서 자연 유기농업을 접목한 유기농텃밭으로 빠르게 안정화 되고 있는 과정들입니다. 유치원이나 학교, 가정, 단체시설등에서 매일 쏱아내는 음식물과 화장실..

생태교육 텃밭에 아이들과 채소을 심었습니다.

어린이집 아이들과 묘종심기 (9) Ofica 친환경ㆍ유기농밥상과 생태보육을 지향하는 27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들이 모인 생태보육협회가 제주에 있습니다. 2살부터 100여 명의 아이들과 10여 명의 교사님들이 있는 어린이집으로 원내에 수영장과 잔듸축구장, 놀이터와 함께 텃밭까지 원내에 갖추어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