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무석유 전통농업이 필요한 이유 토양 농사가 필요하다. Ofica 밑 비료와 밭갈이 농업은 농업혁명이라 할 정도로 높은 생산량으로 인간의 배고픔을 해결한 농경문화 이래 최고의 농사방법이다. 관행 농업이나 친환경 유기농업까지 생산을 높일 수 있는 밑 비료와 전면 밭갈이 농사는 정석처럼 여길 정도로 농사에.. 밭 만들기 2011.12.28
경쟁력을 갖추는 한국농업 농업 경쟁력- 4 Ofica 시설과 규모 확대로 대량 생산하는 농사는 완성했으나 가격이 높은 만큼에 비하여 소비자로부터 인정받아 팔리는 생산과 판매는 안 되고 있다.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사기술이나 정보의 부족으로 농산물 생산을 못 하는 것보다는 대부분 농가는 생산은 잘했으..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12
귀농하여 얻는 '농부의 행복' 행복을 찾는 귀농 Ofica 귀농을 준비하시는 분이나 갓 귀농하신 분, 길게는 5년, 10년 차의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어떤 방법의 농사'가 중요하다는 것을 재차 강조하고 싶다.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좋은 농산물 생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정보의..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1.01
귀농의 成敗는 '어떤 방법의 농사'다 귀농의 成敗는 '어떤 방법의 농사'다 Ofica 귀농하여 겪는 많은 것들 중에 하나가 힘든 노동과 농사 고비용, 소득의 불안정을 겪으면서 행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갈수록 없어지는 것이다. 어떤 농사를 지으면 농촌에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나 하는 관심이 귀농을 준비하는 동..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0.29
귀농! 첫 번째 준비 귀농을 위한 준비 Ofica 지금보다 행복한 삶은 농사를 짓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으로 도시에서 새로운 농촌으로 이주한다는 의미을 살리는 귀농인가 생각이 필요하다. 귀농에서 첫 번째 의미와 준비가 농사인데도 질적 행복을 지속해줄 '어떤 방법의 농사'로 어떤 농사를 짓을 것..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0.28
늦기 전에 선택해야 합니다. 99%와 1%... 99%와 1%의 농사, 더 늦기전에 선택해야 합니다. Ofica 아이들의 미래가 위험합니다. 갈수록 강해지는 질병, 불안한 먹을거리, 물 오염, 지구 온난화 문제가 시작되는 흙이 위험합니다. 빨리 크게 키우는 농사 때문에 풍족한 먹을거리는 채울 수가 있었지만, 40년 이전의 건강한 시냇물과 흙을 찾아보기 어..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07.05
[유기농업] 비료와 밭갈이 농사에서 발생하는 문제(6) 유기농 텃밭만들기- (6) Ofica 밑 비료로 넣은 비료와 퇴비는 작물이 성장에 필요한 양분으로 소비하다 남은 것은 작물에 축적되어 음식을 통하여 사람이 섭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밑 비료 과다 투입은 작물이 과다 섭취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토양에 남은 밑 비료와 퇴비는 밭갈이로 토양에 염류축적.. 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2011.07.02
비료와 발효 퇴비가 필요없는 옥상 텃밭 2011년 텃밭 농사- 7 Ofica 도시농업이 활성화되면서 도시에서 팔리는 유기질 비료가 많아지면서 유기질 비료 시장이 큰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화학비료가 정부 지원으로 많이 사용하다가 지원이 끊기고 유기질비료에 정부 지원으로 바뀌면서 유기질 비료 종류와 가격 또한 다양하여 친환경.. 자연유기농 작물과 현장 2011.06.18
토양을 살리는 텃밭 만들기 (2) 유기농 텃밭 가꾸기- (2) Ofica 자연 숲과 같은 토양을 만들자 합니다만 나무가 자라는 토양의 미생물 환경과 채소가 자라는 데에 필요한 토양 미생물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채소가 자라는 텃밭을 만들기 위하여 나무가 자라는 자연 숲과 같은 토양보다는 채소가 자라는 데에 필요한.. 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2011.06.07
벌레을 키우고, 음식물 쓰레기로 농사를 짓는 초등학교 생태텃밭 초등학교 생태교육 텃밭 연재- (8) Ofica 병충해 방제와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농사는 불가능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합니다. 몇 년동안 무 경운과 무 공장형 비료, 무 병충해 방제, 무 비닐, 잡초을 차단하는 유기물 멀칭으로 곤충과 벌레을 키우면서 채소와 가축을 키우는 적은 농사로도 먹고 살 수.. 도시농업 현장/초등학교 생태교육 텃밭 201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