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의 작은 텃밭이 물의 재해와 온난화을 막는 행동입니다. Ofica 구 제주시에서 신제주로 걸어가던 연삼로 근처을 지나던 길에 본 어린이집 텃밭입니다.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텃밭을 일구지만 작물파종 때마다 비료와 밭 갈이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정원 같은 텃밭으로 꾸며 진다면 아이들의 자연스럽게 접근이 편리하여 지면서 친숙한 농사.. 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2009.12.10
온난화을 막는 생활실천의 현장을 들려다 봅니다. Ofica 제주시 버스터미널 서쪽에 위치한 동성마을 이곳 저곳을 둘러보며 담은 작은 텃밭들 입니다. 구제주와 신제주 중간에 위치하여 공항에서 5분거리, 제주도민들이 이용하는 종합운동장과 접하고 있는 제주시의 도심지에 위치한 마을 입니다. 마을 옆으로는 비가 내렸을 때만 물이 흐른다는 한천을 .. 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2009.12.09
유기농텃밭에서 야콘을 수확하다. (170) 유기농텃밭에서 야콘을 수확하다. (170) 유기농텃밭~~ 스물네번째 이야기 Ofica 이번 주 초에는 남아공 월드컵 조 추첨에 세계인들 눈이 집중되는 톱 뉴스가 되어진 후에 세계인들의 눈과 귀가 유럽으로 옮겨져 있습니다. 세계 110개국 정상들과 192개국 대표단 15,000명이 참여하는 금세기 최대의 회의이며 .. 밭 만들기 2009.12.08
5평을 10평이상으로 끌어내는 유기농업 (168) 5평을 10평이상으로 끌어내는 유기농업 (168) 유기농 텃밭이야기~~스물 두번째 이야기 Ofica 텃밭 규모가 작은 관계로 야콘과 사탕수수가 자라는 틈새에 양배추와 부로콜리들을 심어섰습니다. 키가 큰 야콘과 사탕수수로 인하여 햇빛과 바람이 차단되어 작물들이 성장이 더디지만 이렇게 하는 것이 적은 .. 밭 만들기 2009.11.25
병충해의 대안을 찾아서 (166) 병충해의 대안을 찾아서 (166) 유기농 텃밭~~스무번째 이야기 Ofica 농사을 지으며 제일 어려운 문제가 풀과 병충해의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병충해의 문제는 농경사회가 시작되어 지금까지 해결의 답을 찾고 있는 문제로 아직까지 명쾌한 답이 없이 일시적인 해결로 화학 살충제와 최근 환경적 대처.. 밭 만들기 2009.11.17
이장집 파주을 다녀 왔습니다. Ofica 경기도 파주시 "이장집" 김정호 선생님을 뵙고 왔습니다. 직접 돼지을 사육하여 식당, 직거래 택배등으로 소비 시키는 것은 물론 유기농 식단을 통하여 소비자교육과 농민교육을 통하여 먹을거리와 건강을 접목한 농업의 새로운 키워드을 만들어 가시는 분입니다. 같이 동행하신 목사님께서 많은..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09.11.15
멀꿀나무 & 멍나무 입니다. (165) Ofica 학명: 멀꿀 분류: 으름덩굴과 상록 덩굴식물 분포서식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제주도와 남해지역 개화: 5월 용도: 분재나 관상수. 열매는 장과로 달걀모양 타원형 특징: 15m 이상자라는 덩굴식물 한방에서는 강심제나 이뇨제, 진통 진정효과 한달 전 쯤 어디을 가기 위하여 걷다 길에서 발견한.. 자연유기농 작물과 현장 2009.11.13
도시농업이 도시을 치료한다 (163) 도시농업이 도시을 치료한다. 유기농텃밭~~열 아홉번째 이야기 Ofica 자연을 이용한 건강법이 크게 호응을 받으면서 이제는 치료에 까지 이용되고 있습니다. 음악치료나 놀이치료가 사람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인 치료에서 언제부터인가 자연을 이용한 원예치료라는 학문으로까지 발전 되었습니다. 자.. 밭 만들기 2009.11.09
사람의 공장과 원료을 더 이상 외면하면 안 됩니다 (159) 유기농텃밭~~ 열일곱번째 이야기 Ofica 자연의 흙에 근접한 자연노선 유기농업에서 느낄 수 있는 하나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자연노선으로 키워진 유기농산물을 보면 작물의 종류에 따라 가지고 있는 고유한 맛과 향을 알게 됩니다. 반 년전 일행분들 중에 한 분이 좋은 식당이라며 안내한 쌈밥집에 유.. 밭 만들기 2009.11.02
유기농업은 편하게 농사을 짓자는 것이다 (158) 유기농텃밭~~열여섯번째 이야기 Ofica * 미생물, 생선액비, 동물성 액비, 청초액비을 옆면 살포나 관주 위주로한 농사가 자연노선 유기농업으로 가능한가? 질문: 자연노선 유기농업에서 옆면 살포로 접근 하기는 어렵습니다. 단 태풍이나 가뭄, 수해와 냉해등 기상이변으로 작물과 나무에 큰 해을 입었.. 밭 만들기 200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