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228

유기농텃밭으로 풀을 키우면서 풀 걱정없이 농사가 가능하다. (138)

도시 유기농텃밭~~일곱번째 이야기 Ofica 작은 텃밭이나 주말농장을 하면서 제일 어려운 문제가 풀로 인하여 포기나 제일 큰 어려움에 있을 것입니다.. 여름에 풀뽑기을 하여 돌아서면 풀이 자란다고 할 정도로 풀이 자라는 속도는 무서울정도로 작물보다 풀이 더 많이 보이게되어 풀만 해결이 되어진..

밭 만들기 2009.08.17

귀촌, 귀농의 성공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124)

귀농, 귀촌 열 다섯번째 이야기 도시에서 올해 여름휴가는 농촌으로 귀촌, 귀농 여행이 트랜드가 될 정도로 붐을 이르고 있습니다. 매일 짜여진 톱니바퀴 처럼 살아가는 도시에서 자연의 여유로운 꿈을 가져다 줄것 같은 농촌에 대한 환상의 꿈을 이르려는 도시의 낭만파들이 농촌으로의 이동은 당연..

귀농, 귀촌에서 농사작목 선택이 성공과 실패을 좌우한다. (123)

귀농, 귀촌 열네번째 이야기 농촌으로 이주한 후에 어떠한 작목의 농사을 지을 것인가 제일 많은 고민을 하면서 대분분의 귀농인들이 농사작목을 선택을 하여 이주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에서 농사경험 없이 농사 작목을 선택한다고 하는 것은 처음부터 위험한 시작이라 보고 한번..

귀농, 귀촌을 앞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력 수단을 찾는 것이다. (122)

귀농 열세번째 이야기 귀촌, 귀농에서 준비할 때나 정착후에 제일 중요한 것이 경제적인 문제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농촌으로 정착 이후에 실패하고 다시 떠나는 요인 중에 거의가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농사기술이 부족한 요인도 있지만 잘 못된 작목선택과 농산물을 생..

귀농,귀촌에 앞서 미래을 볼수 없다면 잠시 멈추고 고민하고 가십시요.(121

귀농 열 두번째 이야기 로컬푸드, 푸드 마일리지라는 말이 최근에 우리에게 친숙하고 세계적인 운동의 트랜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찍이 제지역, 제철 먹거리을 먹자고 하는 운동이 있었지만, 최근들어 미국, 유럽등 중심으로 지역 먹거리운동인 로컬푸드 운동이 언제 부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