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텃밭으로 풀을 키우면서 풀 걱정없이 농사가 가능하다. (138) 도시 유기농텃밭~~일곱번째 이야기 Ofica 작은 텃밭이나 주말농장을 하면서 제일 어려운 문제가 풀로 인하여 포기나 제일 큰 어려움에 있을 것입니다.. 여름에 풀뽑기을 하여 돌아서면 풀이 자란다고 할 정도로 풀이 자라는 속도는 무서울정도로 작물보다 풀이 더 많이 보이게되어 풀만 해결이 되어진.. 밭 만들기 2009.08.17
음식물쓰래기 처리 자원화 시설만들기. (137) 도시 유기농텃밭~~~음식물쓰래기 처리 자원화시설만들기~~두번째이야기 Ofica 저탄소 녹생성장이라는 말이 이제는 사회적인 키워드로 자리매김 할 정도로 우리사회에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에너지 기술개발보다 급한것이 녹생성장으로 가는 삶이 더 중요성을 강조 할 정도입니다. 이 시대에 동반자적.. 밭 만들기 2009.08.15
산책길에 얻은 삶의 여유로움 Ofca 아름다움을 뽐내는,,, 누구의 머릿결일까여,, 마을 산책 중에 차집 앞을 지나다,,만남이 되어지는,,,,, 귀한 차 한잔을 나누는 여유을 나누고,, 아침 산책의 아름다운 향에,,,그웃한 차 향이 더해지고,,,, 차 한잔을 나누는 그 곳에는 아름다움이 또,,, 지나는 아침 산책객에게 마음을 나누어 주시는 찻.. 이런저런 삶 이야기 2009.08.13
도시 유기농텃밭 작물들이 자라는 모습입니다. (136) 도시농업 유기농 텃밭~~~여섯번째 이야기 Ofica 도시의 가정 정원과 옥상, 도시 곳곳에 유기농텃밭이 일구어지는 그날을 기다립니다. 도시의 음식물쓰래기등 유기물 재활용처리와 자원화로 작물을 키우고, 도시속에서 환경교육과 먹을거리교육, 유기농텃밭과 유기농교육의장을 만들어가는 데에 부족.. 밭 만들기 2009.08.12
도시농업 텃밭 이야기~~두번째 (126) 텃밭 만들기~~두번째 이야기 Ofica (Organic Farm in City Association) 도시농업에서의 성패는 벌래나 곤충, 풀등에 혐오감과 위험적인 곳으로 생각을 가진 어린아이들과 심심 노약자들도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텃밭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작물 파종 하기전 밭을 준비하는 동안 밭 갈이 작업이나 비료등 준비와 .. 밭 만들기 2009.07.20
귀촌, 귀농의 성공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124) 귀농, 귀촌 열 다섯번째 이야기 도시에서 올해 여름휴가는 농촌으로 귀촌, 귀농 여행이 트랜드가 될 정도로 붐을 이르고 있습니다. 매일 짜여진 톱니바퀴 처럼 살아가는 도시에서 자연의 여유로운 꿈을 가져다 줄것 같은 농촌에 대한 환상의 꿈을 이르려는 도시의 낭만파들이 농촌으로의 이동은 당연..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3
귀농, 귀촌에서 농사작목 선택이 성공과 실패을 좌우한다. (123) 귀농, 귀촌 열네번째 이야기 농촌으로 이주한 후에 어떠한 작목의 농사을 지을 것인가 제일 많은 고민을 하면서 대분분의 귀농인들이 농사작목을 선택을 하여 이주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에서 농사경험 없이 농사 작목을 선택한다고 하는 것은 처음부터 위험한 시작이라 보고 한번..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2
귀농, 귀촌을 앞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력 수단을 찾는 것이다. (122) 귀농 열세번째 이야기 귀촌, 귀농에서 준비할 때나 정착후에 제일 중요한 것이 경제적인 문제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농촌으로 정착 이후에 실패하고 다시 떠나는 요인 중에 거의가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농사기술이 부족한 요인도 있지만 잘 못된 작목선택과 농산물을 생..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1
귀농,귀촌에 앞서 미래을 볼수 없다면 잠시 멈추고 고민하고 가십시요.(121 귀농 열 두번째 이야기 로컬푸드, 푸드 마일리지라는 말이 최근에 우리에게 친숙하고 세계적인 운동의 트랜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찍이 제지역, 제철 먹거리을 먹자고 하는 운동이 있었지만, 최근들어 미국, 유럽등 중심으로 지역 먹거리운동인 로컬푸드 운동이 언제 부터인..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