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유기농텃밭의 8월 초의 모습입니다. (140) 도시 유기농텃밭 ~~여덞번째 이야기 Ofica 8월의 텃밭은 무성하다 하기보다 넘친다고 해야 할 정도로 작물들의 텃밭을 덮고 있습니다. 여름에는 배추와 상추, 무우, 시금치, 양배추와 같은 찬 기운의 날씨을 좋아하는 작물보다 한 여름 뜨거운 날씨을 좋아하는 토종오이(노각), 옥수수, 가지, 고추, 호박, .. 밭 만들기 2009.08.23
귀촌, 귀농의 성공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124) 귀농, 귀촌 열 다섯번째 이야기 도시에서 올해 여름휴가는 농촌으로 귀촌, 귀농 여행이 트랜드가 될 정도로 붐을 이르고 있습니다. 매일 짜여진 톱니바퀴 처럼 살아가는 도시에서 자연의 여유로운 꿈을 가져다 줄것 같은 농촌에 대한 환상의 꿈을 이르려는 도시의 낭만파들이 농촌으로의 이동은 당연..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3
귀농, 귀촌에서 농사작목 선택이 성공과 실패을 좌우한다. (123) 귀농, 귀촌 열네번째 이야기 농촌으로 이주한 후에 어떠한 작목의 농사을 지을 것인가 제일 많은 고민을 하면서 대분분의 귀농인들이 농사작목을 선택을 하여 이주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에서 농사경험 없이 농사 작목을 선택한다고 하는 것은 처음부터 위험한 시작이라 보고 한번..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2
귀농, 귀촌을 앞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경제력 수단을 찾는 것이다. (122) 귀농 열세번째 이야기 귀촌, 귀농에서 준비할 때나 정착후에 제일 중요한 것이 경제적인 문제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농촌으로 정착 이후에 실패하고 다시 떠나는 요인 중에 거의가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농사기술이 부족한 요인도 있지만 잘 못된 작목선택과 농산물을 생..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11
귀농,귀촌에 앞서 미래을 볼수 없다면 잠시 멈추고 고민하고 가십시요.(121 귀농 열 두번째 이야기 로컬푸드, 푸드 마일리지라는 말이 최근에 우리에게 친숙하고 세계적인 운동의 트랜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찍이 제지역, 제철 먹거리을 먹자고 하는 운동이 있었지만, 최근들어 미국, 유럽등 중심으로 지역 먹거리운동인 로컬푸드 운동이 언제 부터인..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7.08
귀농(열번째) 도시에서 준비와 적극 활용하라 (83) 열번째 도시에서 귀촌 귀농에 앞서 도시에서 준비했으면 하는 몇가지을 이야기해 보려합니다. 농촌에서 주 수입원이 되어질 농산물이 매년 불안전한 가격으로 인하여 농사수입을 대체 할수 있는 다른 수입원을 준비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농업소득도 중요하지만 농사와 연계한 농외 소득의 포트폴리..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4.10
귀농 (다섯째)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지만 빠질수도 있습니다 (64) @ 병아리들이 한 겨울 추운 날씨에도 인위적인 보온 없이도 추워하면서도 별 탈없이 지금까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농촌으로 귀촌 귀농하는 가정이 1년 500만원으로 살아 갈수 있는 살림살이가 가능하다면 안정적인 정착이 되어질 수 있는 90%의 성공의 지름길을 가고 있다봅니다. 귀촌 귀농을..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