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밥상 (다섯째) 밥은 우리의 문화며, 삶이며, 건강의 샘이다. (103) 자연밥상 다섯번째 이야기 올바른 밥상 이해을 위하여 지금까지의 식생활 교육이 아닌 새로운 교육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주부들이 반찬상과 밥상을 구분 짓지 못하고 있으며, 밥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옛날 임금님 수락상이 잘 먹고 잘 사는 밥상으로 인식하여 너나 할 것 없이 임금님 수..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09.04.24
어릴적 들녂에서 먹어보던 찔레 매실이 탱글하게 여물었내여,, 이 대로라면 작년 보다는 몇 배정도 수확이 되어 매실 발효액을 넉넉히 담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토종 옥수수와 단수수, 차조기등 봄 씨앗 육묘작업이 매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타지에서 제주에 온지 6개월 되셨다는 선생님과 통도사 근처에서 선생님과 아드님이 머무..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09.04.22
텃밭 (열여섯번째) 묘근으로 육묘하기 (98) 열여섯번째 이야기 고무마싹띄우기, 봄감자 심기, 여름작물 씨앗파종과 준비등 봄 농사 준비가 바쁜 시기입니다. 오늘 아침은 한 겨울 잠바을 입지 않으면 추울 정도로 낮에도 잡바을 입어야 할 정도의 정상적인 4월의 날씨로 고추나 옥수수, 야콘등 여름 작물은 4월 말부터 5월초에나 가능한 시기가 .. 밭 만들기 2009.04.16
텃밭 (열다섯번째) 씨앗으로 묘을 키우기 (96) 열다섯번째 이야기 4월이지만 일주일 넘게 5, 6월과 같이 낮에 온도가 30도에 근접하면서 고사리 장마라하여 비가 올 시기에 비가 없는 변화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봄농사가 되어지는 시기로 작년가을 심은 보리, 밀등의 꽃대가 나오거나 나오는 것을 보면 본격적인 씨앗 파종준비 시.. 밭 만들기 2009.04.15
자연밥상 (두번째) 밥과 밥상의 진실과 오해 (95) 두번째 이야기 쌀밥은 우리민족의 삶이요 문화라 할 정도로 "밥식"(食)자을 사용하여 식사라 할 정도로 주식으로 보리와 쌀을 먹어왔습니다. 밭에서 재배하던 벼을 편한 재배 방법을 찾아 수리시설과 오랜 농경사회로 이어지면서 물을 이용한 논벼가 현재을 주을 이루면서 밭 벼의 품종은 거의 단종되..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09.04.14
귀농 (열한번째) 한국 농업 미래는 귀촌, 귀농인들의 희망으로 (94) 열한번째 이야기 현재 농촌에서 잘나가는 농민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판로을 가진 농부들입니다. 농사의 근본은 분명 자급이지만 현대 사회에서 어느정도 경제적인 잣대가 되어지는 현금이 일정하게 나오는 경제수단이 없다면 농촌의 낭만은 커녕 도시와 같이 농촌에서도 삶이 버거울 수밖에 없습..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4.13
귀농(열번째) 도시에서 준비와 적극 활용하라 (83) 열번째 도시에서 귀촌 귀농에 앞서 도시에서 준비했으면 하는 몇가지을 이야기해 보려합니다. 농촌에서 주 수입원이 되어질 농산물이 매년 불안전한 가격으로 인하여 농사수입을 대체 할수 있는 다른 수입원을 준비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농업소득도 중요하지만 농사와 연계한 농외 소득의 포트폴리..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09.04.10
가정 음식물, 도시유기물을 이용한 텃밭가꾸기와 씨앗나눔, 자연 음식체험 가정 음식물, 도시유기물을 이용한 텃밭가꾸기와 씨앗나눔, 자연 음식체험 저 탄소,,, 녹생성장,,, 이라고 하는 말이 우리는 언제부터인지 익숙하게 듣게됬지만 개인과 가정, 단체, 학교, 직장에서 녹생성장 저탄소의 운동에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는 우리가 되어야 할 시점이라 봅니다. 대중교통.. 카테고리 없음 2009.04.06
텃밭 (열세번째) 미생물 활용과 자연회복 (88) 열세번째 흙의 생명체을 죽이는 노선이 아니라,, 흙의 생명체들을 살리는 자연순환 노선으로 가고자 합니다. 오래전 아프리카에 에볼라 바이러스가 사람과 동물들을 압도하며 살생으로까지 이르는 자연이치에 벗어난 강한행위와 과학적인 대안의 한계로 인하여 세계학자들과 세계인들이 경악을 금.. 카테고리 없음 2009.03.23
텃밭 (열두번째) 미생물 발효배양과 음식물 쓰래기활용 대안 (87) 열두번째 미생물발효 배양은 텃밭이나 큰규모의 농지토양을 빠르게 자연 친화적인 회복을 시키는데에 활용도 가능하지만 도시, 농촌의 가정,시장,식당등 음식물을 자원화는 물론 환경적인 대안 처리에 있습니다. 인구 집중으로 인하여 농촌과 도시에서 심각하게 배출되어지는 생활쓰래기을 자연순.. 밭 만들기 2009.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