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해체철거비용 2배 정도 과소평가됐다... 원전 해체철거비용 2배 정도 과소평가됐다 전 세계적으로 탈핵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가운데 원자력은 ‘값싼 에너지’라는 근거 없는 믿음 역시 무너지고 있다. 지난 2월 8일 유럽감사원(European Court of Auditors: ECA)이 발표한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가동이 중단된 원전의 해체철거비용은..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2.03.15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열, 난방에 사용할 수 있다...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열, 난방에 사용할 수 있다 해마다 IBM은 향후 5년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혁신 TOP 5를 선정해 왔다. 올해는 놀랍게도 '인간에너지'를 가장 혁신적인 기술로 꼽았다. 낭비되고 있는 사람들의 운동에너지를 모으면 집과 회사에 전력을 공급할 수..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2.02.25
'귀농, 도시농부, 유정란생산' 유기농업 교육 다녀왔습니다. 자연순환유기농업 Ofica 충청 서천군에서 개최한 1박 2일 자연순환유기농업 교육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다음 교육은 같은 서천에서 3일 동안 닭 사육 유정란교육과 25일, 26일 29일, 3월에 2일, 3일, 4일 교육이 계속 이어집니다. "도시농업과 도시 소비자, 귀농 예정자"을 대상으로 교..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12.02.06
경쟁력을 갖추는 한국농업 농업 경쟁력- 4 Ofica 시설과 규모 확대로 대량 생산하는 농사는 완성했으나 가격이 높은 만큼에 비하여 소비자로부터 인정받아 팔리는 생산과 판매는 안 되고 있다.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사기술이나 정보의 부족으로 농산물 생산을 못 하는 것보다는 대부분 농가는 생산은 잘했으..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12
귀농! 실패한 농업 '강소농'은 대안인가... 농업 경쟁력- 1 Ofica UR 협정에 이어 칠레 FTA, EU FTA에 이어 한미 FTA 때문에 도시와 농촌은 지금 서로 불신을 하면서 서로 옮다는 양반 된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수입 소고기 반대의 충돌에 이어 바람 잘 난 없는 FTA 충돌이 27% 식량 자급의 불안한 상황에 외국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2.03
도시농부학교 부산시 해운대구 도시농부학교 Ofica 부산시 해운대구청 옥상에 위치한 도시공원... 해운대 세계시민사회센타 도시농부학교 수장 모습... 마지막 수강을 마치고... 도시농부학교 수료증을 전달하는 세게시민사회센타 사무총장님... 수료 기념으로... 벌거벗은공화국 * 11월 18일~ 19일 .. 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2011.11.16
방풍 씨앗 분양 제주 씨앗도서관에서 방풍씨앗 분양(교환)합니다. Ofica 도시농부에게 좋은 방풍 씨앗을 분양(교환)합니다. 방풍자생지 제주에서 채취한 방풍 씨앗입니다. 약재로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잎을 채취하는 고급 쌈과 나물로 많이 재배됩니다. 도시의 텃밭이나 정원, 베란다 텃밭에 2~3 .. 벌거벗은공화국 소식 2011.11.14
귀농하여 얻는 '농부의 행복' 행복을 찾는 귀농 Ofica 귀농을 준비하시는 분이나 갓 귀농하신 분, 길게는 5년, 10년 차의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어떤 방법의 농사'가 중요하다는 것을 재차 강조하고 싶다. 귀농하신 분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좋은 농산물 생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정보의..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1.01
자급자족하는 귀농과 다른 귀농 귀농은 회개다! '어떤 방법의 농사' Ofica '어떤 농사'를 '어떤 방법의 농사'를 준비하여 귀농 후에 농사를 잘 짓은 후에도 삶이 만족하다는 귀농 농가가 몇 %나 될까싶다. 지금 농촌의 삶을 보면 EU FTA에 이어 한미 FTA가 발효되면 수입농산물과 경쟁에서 밀릴 것이라는 미래 불안은 1~2..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0.31
귀농! 첫 번째 준비 귀농을 위한 준비 Ofica 지금보다 행복한 삶은 농사를 짓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으로 도시에서 새로운 농촌으로 이주한다는 의미을 살리는 귀농인가 생각이 필요하다. 귀농에서 첫 번째 의미와 준비가 농사인데도 질적 행복을 지속해줄 '어떤 방법의 농사'로 어떤 농사를 짓을 것.. 건강과 생태 이야기/귀농 이야기 201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