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질병과 다이어트 도전하기 다이어트와 질병을 치료하는 현미식 Ofica * 현미밥을 씹고 먹을 수 있는 환우일 때 1)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현미식을 씹을 수 있는 적은 힘이라도 있다면 곧바로 현미밥을 먹는 것이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현미밥을 입에 넣어 천천히 라도 꼭꼭 씹어 맛과 향을 음미하면서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12.01
쌀을 맛나게 먹는 방법 현미밥의 밥상을 맛나게 먹는 방법 Ofica 최근에 건강을 위하여 현미밥을 먹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미밥이 맛도 없지만, 소화도 잘 안 된다고 멀리하는 분들도 많다. 건강과 채식자를 위한 현미밥과 채식, 건강 식단을 소개하는 요리 안내 책이나 건강 음식 매체가 많으나 먹..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11.17
현미밥 잘 짓는 방법 통곡식 현미밥 짓기 Ofica 쌀의 영양분 95%는 배아(쌀눈)와 쌀겨(씨껍질, 아호분층)라는 겉 부분에 있어 도정하면서 이 부분을 제거한 백미는 쌀의 맛과 영양원으로 볼 수가 없다. 도정을 하면서 쌀의 겉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 백미는 쌀의 영양분은 5% 정도밖에 안 남게 된다. 그리고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11.15
쌀의 맛과 밥의 맛 쌀 맛과 밥 맛 Ofica 최근에 건강을 위하여 통곡식 현미밥을 먹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으나 쌀이 가진 영양만이 아니라 맛과 향까지 음미하지를 못하고 있다. 쌀을 주식으로 필요한 양분을 통곡식 밥을 통하여 섭취하던 대중의 밥상문화가 언제부터인가 소수의 임금님 수라상과 같..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11.12
'밥상이 사라지다' 그리고 질병공화국! 국가적인 영양섭취 난제에 빠지다. '밥상이 사라지다' 그리고 질병공화국! 국가적인 영양섭취 난제에 빠지다. Ofica "밥 드셨습니까"라는 인사가 우리내 인사법이 되다시피 배고픔과 밥이라는 문화 속에 익숙하게 접하며 우리는 살아왔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아이들 조차 밥은 살을 찌게 하는 음식으로 인식되면서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11.10
제주 발효 음료 "쉰다리" 만들기 & 좋은 농산물이란! Ofica 어느 지인 집에서 내놓은 "쉰다리"가 어릴적 기억이 살아나면서 어찌나 맛나던지 두 잔이나 마시고 왔습니다. 어릴 적에 자주 마셨던 기억과 친구가 "쉰다리"가 제주인의 토속적인 좋은 발효음료인데 쉽게 마실 수가 없다는 말이 생각이 나기도 하여 오일장에서 누룩을 구매하고 멀리서 직접 재배..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08.24
'밥상은 없다.' 국민 4명 중 1명이 만성질환자인 국가가 되다 선조의 밥상을 멀리한다. Ofica 1970년 1인당 190kg의 양곡 소비량이 30년이 지난 2010년에 82kg으로 격감하면서 쌀 재고 증가와 곡물수입 증가라는 최악의 식량수급 불균형 상태입니다. 쌀은 재고가 쌓이는 공급과잉이라면 콩 23%, 보리 44%, 옥수수 4%, 밀은 0.9%밖에 자급하는 곡류 부족으로 우리나라 양곡 자급..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1.06.02
'쌀의 맛' 명인이 말하는 밥짓기 (新) 통곡식 현미밥 짓기 Ofica 쌀의 영양분 95%는 배아(쌀눈)와 쌀겨(씨껍질, 아호분층)라는 겉 부분에 있어 도정하면서 이 부분을 제거한 백미는 쌀의 맛과 영양원으로 볼 수가 없다. 도정을 하면서 쌀의 겉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 백미는 쌀의 영양분은 5% 정도밖에 안 남게 된다. 그리고 백미는 ..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0.08.04
부모가 자녀들에게 남겨주는 첫과ㆍ마지막 교육 '밥상머리' 부모의 유산으로 남겨지는 '밥상머리' Ofica '행복하다'는 뜻의 정의는 잘은 모르겠지만 무거운 짐이 없다면 '행복'이라 생각합니다. 바삐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목표하고 추구하는 외향적 가식의 무거운 짐들을 내려 놓을 수만 있다면 행복은 누구나 가질 수 있도록 평등하게 주어졌다 봅니다. 부을 일.. 건강과 생태 이야기/밥상& 건강한 삶 2010.07.30
쌀의 맛을 간직한 밥 맛을 모르고 있다는 충격,,, 밥상과 밥 맛이란? Ofica 요즘은,,,이렇게 지냅니다. 왕고들빼기와 채소, 산딸기가 제철의 맛으로 입맛을 돋궈주는 산야채샐러드,,, 16년 된 산야채숙성효소을 소스로. 10개월 째 자라는 양배추 중에 결구가 시작되는 작은 것을 맛 보았습니다, 작년 가을에 심은 양배추가 아직도 자라면서 결구가 되고 있.. 밭 만들기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