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 (1)
보도자료 |
제공일 : |
2011. 6 . 7 |
제공자 : |
농림수산식품부 종자생명산업 과 | |
과 장 : |
심 재 규 | |
사무관 : |
김 중 현 | |
전 화 : |
02-500-1850 | |
쪽 수 : |
4P | |
별첨자료 : |
있음(15P) | |
|
이 자료는 2011년 6월 8일 조간 이후에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농업활성화 추진 - 도심에 텃밭․주말농장 8천개소(3천ha)를 조성, 녹색공간 확충 -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한 식물생산공장(Vertical farm) 산업화 - 도시농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 인프라 구축 |
|
□ 정부는 6. 8(수)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개최되는 제11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Green 도시농업활성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추진배경>
○ 전 세계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소규모 도시텃밭(City Farm)이 확대되는 추세임
* 독일 클라인가르텐(100만개), 영국 allotment(30만개), 일본 시민농원(3천개), 뉴욕 Roof garden(6백개), 몬트리올 City farm(8,200개) 등
○ 우리나라도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에서 텃밭을 보급하는 등 도시농업이 활발하게 시작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정서함양, 원예치료 등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고 있음
* 도시텃밭 현황(‘10 농식품부 실태조사결과) : 247개농장(104ha), 153천명 참여
* 서울 등 10개 지자체에서 조례 제정(서울, 부산, 대구, 대전, 경기, 강동구 등)
○ 근래에는 도심의 고층건물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새로운 개념의 빌딩형 식물공장(Vertical farm)이 산업화가 되고 있음
* 일본은 LED, 지열 등을 이용한 식물공장 조성 중(50개소 운영, 100개소 추진중)
▲ 서울디지털포럼 2011(‘11.5.27)에서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미국 콜롬비아대) 발표 (주제) Vertical farm 과 도시농업의 부상 : 대한민국은 국토가 좁고 도시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집약적 농업기술 보유로 수직형 농장이 발전하기에 이상적인 나라이다 |
□ 이번 방안은 ‘20년까지 도시텃밭․주말농장 8,000개소(3,000ha)를 조성하여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0%(500만명)이상을 참여시킨다는 도시농업활성화 목표를 설정하였다
○ 이를 위해 ①도시텃밭 확대 ②도시 주말농장 활성화 ③도시농업공원 조성 ④도시빌딩 녹화 ⑤식물생산공장 산업화와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함
<도시농업활성화 방안 주요내용>
□ 녹색공간(Green space) 확충 |
○ 건물옥상, 학교부지, 공공유휴지 등에 도심텃밭 7,200개소를 조성하여 녹색공간(Green Space)을 확충할 계획을 제시.
* 서울시 옥상농원 조성 사례 : (‘10~’11) 40개소, 개소당 8백만원 지원
○ 도시 주말농장은 이용객의 불편을 해소하는 주차장, 쉼터, 농장관리사 등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등 확대하고
* 확대계획 : (‘10) 200개소 → (’20) 800
○ 농사체험과 휴식을 함께하는 도시농업공원을 지자체별로 1개소 이상을 조성하여 나갈 계획임
* 조성사례 : 인천 부평 도시농업공원(16천㎡, 휴식+생산+경관)
□ 도시빌딩 녹화 및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
○ 도시빌딩 녹화를 위하여 건물옥상, 벽면, 방음벽 등에 식물을 심어 도시온도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하고, 식물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건물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녹화기술을 보급하고
* 건물녹화 적합식물 기술 개발 및 식물품종 보급 : 500종이상
○ LED, IT, BT 등을 활용한 첨단농업 식물생산공장(Vertical farm)을 산업화 추진할 계획임
- 남극 세종기지에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가동(‘10.1월)하고, 연구용 식물공장을 준공(’11.3월)등 기술개발 추진 중이며,
- 또한, 중동지역 대상으로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수출하기 위하여 실증연구 진행하고 있음
- 앞으로, 고부가가치 작물개발, 플랜트 표준화, 시장분석 등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계획을 수립(‘12), 시범사업(’13)도 추진
□ 도시농업 인프라 구축 추진 |
○ 금년에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 추진
- (주요내용) 도시농업육성종합계획 수립, 도시농업위원회 구성, 기술개발, 인력양성, 사후관리 등
○ 텃밭 신청과 계약을 웹상에서 하고, 농사요령, 기자재 구입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 제공하는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구축
* 예) 영국의 Landshare : 웹상에서 경작 희망자와 토지소유자를 연결
○ 도시농업에 참여한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사 및 텃밭관리요령 교육을 농업기술센터 중심으로 실시
○ 도시농업을 리드하고 설계하는 민간전문가를 육성할 수 있도록 농과계 고교 및 대학(예 : 농수산대학)에 도시농업 특성화 과정을 운영
○ 민간 중심으로 ‘Green-city 시민운동’이 확산되도록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도시농업박람회 개최하는 등 공감대를 확산할 계획임
□ 정부는 도시농업의 기대효과로서 농업을 주제로 한 ▲도시에 도시텃밭․주말농장․농업공원을 만들어 쾌적한 녹색공간(Green space)이 조성하고 ▲도시빌딩 녹화와 식물생산공장의 산업화로 연관된 산업 발전과 일자리가 창출될 뿐만아니라 ▲도시민과 청소년의 정서순화에도 도움이 되어
○ 도시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가 확산되어 궁극적으로는 국민통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도시농업 현장 > 도시농업 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정책 (2) (0) | 2011.06.16 |
---|---|
토양을 살리는 유기물 멀칭 (4) (0) | 2011.06.15 |
곤충과 벌레를 키우는 '풀섬' & "돌섬' (3) (0) | 2011.06.09 |
토양을 살리는 텃밭 만들기 (2) (0) | 2011.06.07 |
많은 뿌리를 키우는 텃밭 만들기 (1) (0) | 201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