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 현장/도시농업 현장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정책 (2)

치유삶 2011. 6. 16. 05:47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2)

Ofica   

 

 

자연순환 유기농업으로 조성한 어린이집 텃밭

 

 

Green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2011. 6. 8

. 추진 배경 1

. 현황 및 향후 여건변화 2

. 비전과 목표 4

. 추진 과제 5

 ? 과제별 추진내용 5

 ? 인프라 구축 10

. 기대 효과 13

. 향후 계획 14

< 참고 > 추진 일정15

 

. 추진 배경

◇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도시농업”의 역할 부각

○ 도시민에게 쾌적한 녹색 공간(Green space) 제공

○ 소일거리 제공, 정서 순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

급격한 도시화로 도시환경 문제(녹지·공기·수질·생태)가 발생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농업의 역할 부각

* 우리나라 도시화율 : (‘60) 35.8% → (‘90) 79.5 → (‘09) 90.8

* 주요선진국 도시화율(‘06. 기준) : (미국) 80.8%, (영국) 89.2, (독일) 88.5

옥상농원, 텃밭농사 등 ‘도시 속 농사’, ‘도시민의 농사’에 대한 관심과 활동 증가

❍ 우리나라는 약 70만 명이 도시농업에 참여 중(세계 8억 명)

특히, 도시농업을 통한 노인 소일거리 제공, 정서 순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중요성 증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이해 증진과 연관 산업의 발전을 통해 도시와 농촌의 균형 발전 필요

(도시농업) 도시민이 도시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농사 활동

경제적 기능

환경적 기능

사회적 기능

- 도시와 농촌의 상생발전

원예산업, 도시녹화산업, 최첨단 자재산업 발전

- 도시공간이용 효율화

- 도심녹지(Green space) 조성

도심온도의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 도시환경 개선

- 도시민 정서 순화

ㆍ청소년 인성함양 교육

- 지역공동체 회복

- 소일거리 제공

 

Ⅱ. 현황 및 향후 여건변화

1

현 황

 

(도시농업의 기원) 산업혁명기에 도시민의 식량자급생산을 촉진하고자 소규모의 토지를 텃밭으로 임대해주면서 시작

 

❍ 도시의 일정지역을 구획하여 텃밭이 없는 일반시민에게 제공

* 독일 클라인가르텐(100만 개), 영국 Allotment(30만 개), 일본 시민농원(3천 개)

 

전 세계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공간으로 소규모 도시텃밭, 도시농장(City farm) 등이 확대되는 추세

* 뉴욕 옥상텃밭 빌딩(600개), 몬트리올 도시텃밭(8,200개)

 

우리나라도 최근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에서 텃밭을 보급하는 등 도시농업 시작

 

서울 등 46개 지자체가 주말농장, 스쿨 팜 등 보급 지원

* 도시텃밭 현황(‘10. 기준) : 247개 농장, 104㏊, 참여인원 153천명

 

❍ 부산 등 16개 지자체에서 조례를 제정하거나 준비 중

*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경기, 수원, 강동구, 광명, 안양, 파주 등

클라인가르텐(독일)

Roof Garden(뉴욕)

유휴지 도시텃밭(한국)

2

향후 여건 변화

근래에는 도심의 고층건물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새로운 개념의 빌딩형 식물공장(Vertical farm)에 대한 연구 활발

 

❍ 일본의 경우 LED, 지열, 태양광 등을 이용한 식물공장 조성

* 식물공장 5개년(‘09~’13) 투자계획 : 50개소 운영, 100개소 설립 추진(147억엔)

※ 서울디지털포럼 2011(‘11.5.27)에서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 발표

(주제) Vertical farm 과 도시농업의 부상 : 대한민국은 국토가 좁고 도시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집약적 농업기술 보유로 수직형 농장이 발전하기에 이상적인 나라이다

 

향후 노인 소일거리 제공, 청소년의 인성 함양, 원예치료 등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전망

 

❍ 초·중·고 학생들에게 씨앗 뿌리기, 모종 심기 등 농사체험을 통해 집중력과 사회성 향상

 

❍ 채소, 꽃 가꾸기 등으로 스트레스 완화 및 건강 증진

 

로컬푸드운동본부, 경기 도시농업네트워크 등을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 붐 조성

파소나 식물공장(일본)

학교 텃밭

원예치료 현장

우리나라 도시농업은 아직 초기단계로 사업 활성화, 인프라 구축 등이 미흡하여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마련

Ⅲ. 비전과 목표

 

 

 

비전

 

도시농업활성화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

2020

목표

 

도시 녹색공간 3,000ha(도시텃밭․주말농장 8천개소) 확충

- 도시민 참여를 활성화(전체인구의 10%, 500만명)

 

추진

과제

 

? 도시텃밭 확대

? 도시 주말농장 활성화

? 도시농업공원 조성

? 도시빌딩 녹화

?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인프라 구축

 

 

 

① 도시농업육성법 제정 ④ 농사 및 텃밭관리 교육

② 도시농업 실태 조사 ⑤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

③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구축 ⑥ 네트워크 및 홍보 강화

Ⅳ. 추진과제

1

과제별 추진내용

1

 

도시텃밭 확대

옥상, 학교부지, 공공 유휴지 등에 도시텃밭 조성

‘20년까지 도시텃밭 7,200개소(2,700ha) 조성

- 텃밭의 생산물은 자가 소비 또는 무상교환 원칙

❍ 텃밭 유형

- (옥상농원) 빌딩 옥상, 아파트 내 부지 등 빈 공간에 텃밭 조성

- (스쿨 팜) 유치원·초중고·대학교에 교육목적의 텃밭 조성

* 학교 현황(‘10 기준) : 유치원 8,388개, 초중고 11,627, 대학교 179

- (공공형 텃밭) 다자녀·다세대·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텃밭 조성

❍ 관리 및 운영

- 지자체가 지역특성에 맞는 텃밭 기준 마련, 텃밭등록 및 사후관리 담당

- 노인회, 부인회, 청년회 등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텃밭운영·관리

- 음식물쓰레기, 빗물, 낙엽 등을 활용하는 자연친화적 농사 지도

옥상 농원

스쿨 팜

다문화 공공형 텃밭

2

 

도시 주말농장 활성화

농장주가 자가 소유(임차 포함) 논밭에 운영하는 주말농장 확대

❍ ’10년 200개소를 ‘20년까지 800개소(300ha)로 확대

❍ 이용객이 불편을 호소하는 편의시설을 확충

- 주차장, 쉼터, 농장관리사, 휴게시설 등

3

 

도시농업공원 조성

농사체험과 휴식을 함께 하는 도시농업공원 조성

’20년까지 도시지역에 지자체별 1개소 이상

* 조성사례 : 인천 부평 도시농업공원(16천㎡, 휴식+생산+경관)

❍ 조성유형 : 기존 공원 리모델링 및 신규 조성

- (기존공원 활용형) 기존 공원의 일부를 영농공간으로 설정, 도시농업 시설을 배치하여 공원기능과 농업공원기능 병행

- (신규 도시농업공원) 영농공간, 교육·체험공간, 휴식·휴양공간, 지원 공간 등 도시민 농업체험 시설 배치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11)

주말농장

기존공원 활용 도시농업공원

신규 도시농업공원

4

 

도시빌딩 녹화

(실외 녹화기술) 건물옥상, 벽면, 방음벽 등에 녹화식물을 활용하여 생태공간을 조성하는 기술 개발 및 보급(‘11~계속)

❍ 적합식물 발굴 및 유지관리, 양분·수분관리 자동화 기술 등

도시녹화에 활용할 수 있는 식물종 확대 및 한국형 도심 가로화단 디자인 개발

* 국내 자생종 및 외국종 : (‘10) 200종→(‘15) 500종 이상

(실내 녹화기술) 식물의 기능성을 이용한 아토피 유발물질과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식물 개발(‘11~계속)

❍ 공기정화식물 개발 및 활용 확대 : 300종

* 공기청정기 등 실내녹화 시장규모 : (‘08) 1,500억 원 → ('15) 2,500억 원

쾌적한 실내 공간 유지에 적합한 식물배치 기술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내식물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실내식물 관리정보 및 기능성 DB 구축 : 400종

실외 벽면 녹화

실내 벽면 녹화

식물 활용 공기청정기

5

 

식물생산공장 기술개발 및 산업화

식물생산공장 모델 개발 착수 및 현장 적응 연구

LED,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식물공장 신축(‘11.3월, 농진청)

남극 세종기지에서 밀폐형 식물생산시설 가동(채소 20종 생산)

수출용 Pilot Plant(컨테이너형) 해외실증 연구(‘11〜’13) : 중동 10개국

식물공장 적용 59개 품목(새싹채소, 인삼·약초 등) 보급(‘11~계속)

 

농촌진흥청 식물생산공장(‘11.3)

남극세종기지 컨테이너형 식물공장(’10.1)

 

식물생산공장의 산업화 추진

국내․외 기술동향과 경제성 등 산업기반 분석(‘11~‘12)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종합계획 수립(’12), 시범사업 추진(‘13)

- 고부가가치 품목재배기술, 플랜트 저단가화·표준화, 시장개척 등

- 산업화 초기부터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 등 참여 유도

 

태양광발전 식물공장(C.G.)

풍력발전 식물공장(C.G.)

2

인프라 구축

1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도시민의 농사활동을 지원하고, 자연 친화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시농업법 제정 추진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동법 하위법령 제정(’11)

- (주요내용) 도시농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도시농업위원회 구성,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등

❍ 중앙행정기관, 학계, 민간전문가를 중심으로 도시농업 주요 정책을 심의하는『도시농업위원회』구성·운영

246개 시·도 및 시·군·구에서 도시농업육성에 관한 조례가 제정될 수 있도록 지원

(‘10) 10개 지방자치단체 → (‘11) 16 → (’15) 246

2

 

도시농업 실태 조사

전국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도시농업 실태 조사(‘12)

❍ 건물옥상, 하천, 학교부지 등 농업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사

녹지조성 효과, 도심온도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 등 분석

3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구축

인터넷을 통하여 텃밭 분양 신청과 계약, 농업 기자재를 보급하는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구축(‘13)

❍ 텃밭 소유자와 이용자를 연결하는 포털사이트 개설

- 텃밭 소개, 참여방안 안내, 신청, 계약 등을 인터넷으로 지원

* 예) 영국의 Landshare : 웹상에서 경작 희망자와 토지소유자를 연결

❍ 도시농업 기자재 보급 및 폐자재 회수 전용코너 마련

- 기자재 소개 및 구매처 안내, 폐자재 접수 및 회수업체 연결 등

농장 컨설팅 코너, 텃밭 활동자 코너 등을 통해 공감대 확산

- 텃밭 관리 및 작물재배 요령, 참여후기 및 텃밭운영 모습, 도시농업전문가 소개 등 정보 제공

 

4

 

농사 및 텃밭관리 교육

옥상농원, 공공형 텃밭, 스쿨 팜, 주말농장 등에 참여하는 도시민에게 농사요령 및 텃밭관리 교육(‘12~’20)

텃밭농사에 참여하는 도시민 63천명에게 농사교육(매년 7천명)

- 도시텃밭 참여자(50천명), 주말농장 회원(13천명)

❍ 농업기술센터, 대학, 도시농업 관련단체 등을 교육기관으로 지정․운영

5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

도시농업 실천과 농사 기술을 리더하는 ‘도시농업 민간 전문가’ 1,200명 양성

❍ 시·군·구별 도시농업 민간전문가 5명 육성

농과계 고교·대학에 도시농업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 과정 운영

- 한국농수산대학 시범 운영(‘13〜) : 도시농업 설계, 전문과정 등

* 농과계 고교/대학교 수(학생 수) : 25개(21천 명) / 42개(2.4천 명)

6

 

네트워크 및 홍보 강화

가. 민간단체협의회 구성·운영

도시농업 저변 확대와 시민운동 전개를 위한『도시농업민간단체협의회』구성․운영(‘12~계속)

❍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Green-city 시민운동” 전개

-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도시생활 환경 개선, 텃밭 확보 등

❍ 도시농업연구회, 도시농업포럼, 경기 도시농업네트워크 등 관련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추진

나. 도시농업공동체 육성 및 활동 강화

옥상농원, 스쿨 팜, 공공형 텃밭, 주말농장 등 도시텃밭에 참여하는 도시민 중심으로 도시농업공동체 육성

‘20년까지 8천 개소의 도시농업공동체 육성

- 노인회, 부녀회, 유치원, 학교, 시민단체, 기업체 등

❍ 관리 및 운영

- 지자체에서 도시농업공동체를 등록하여 관리

- 공동체가 자율적으로 영농교육, 경진대회, 수확축제 등 추진

다. 도시농업 홍보

공감대 형성과 저변확대를 위한 박람회 등 시민운동 지원

도시텃밭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국도시농업박람회, 도시농업 포럼 및 심포지엄 개최

* 부산 도시농업박람회 개최(‘11.3월) : 방문객 3만영

텃밭 운영을 통한 농산물 교환 등 나눔장터 마련(시도별)

도시농업 우수활동 및 정책효과 홍보 추진

다큐멘터리 제작·방영 등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 홍보 동영상, 책자 제작 및 배포

Ⅴ. 기대 효과

 

도시의 유휴 공간을 녹색공간(Green space)으로 활용

❍ 도시텃밭 8,000개소를 조성하여 녹색공간 3,000ha 확충

* 서울시 도시텃밭 가능면적 : 5,100ha(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도심녹지 조성으로 도심온도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도심의 옥상과 건물 벽면을 녹화함으로써 냉․난방비 절감

* 여름철 콘크리트 표면 온도가 50℃인데, 녹화시 표면온도 26~27℃로 유지

농산물 수송거리 단축으로 CO₂발생량 감소 : 12천 톤

* 서울 도시텃밭에서 작물을 생산할 경우 이산화탄소 감소량

 

도시농업 관련 산업의 발전

원예산업(종자·육묘·기자재), 도시녹화산업(건물 및 실내 녹화), 첨단부품 산업(식물생산공장)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소일거리 제공

❍ 도시농업 민간전문가 1,200명 양성

노인 등 소일거리 제공 : 72천명

 

지역공동체 회복, 쾌적한 도시생활문화 형성

. 향후 계획

 

도시농업 육성법 및 하위 법령 제정(‘11)

❍ (가칭)「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

 

도시농업 활성화 실천계획 수립(‘12)

❍ 관련부처, 학계, 민간 전문가의 의견 수렴

❍ 시도별 도시농업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12)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종합계획 수립(‘12)

❍ 국내·외 기술동향, 경제성 등 산업기반 분석(‘12)

❍ 고부가가치 작물개발, 플랜트 표준화, 시장분석 등 산업화 연구(‘12) 및 산업화 시범사업 추진(’13) 등

참고

 

추진 일정 (11 ∼20)

추 진 과 제

세부 실천과제

‘11

‘12

‘13

‘14

‘15

‘16-’20

? 5대 과제

 

 

 

 

 

 

 

 

1. 도시텃밭 (옥상농원, 스쿨팜,

공공형 텃밭) 확대

ㆍ도시텃밭 7,200개 조성

 

 

 

 

 

 

2. 도시 주말농장 활성화

ㆍ주말농장 800개 조성

 

 

 

 

 

 

3. 도시농업공원 조성

ㆍ도시농업공원 246개 설치

 

 

 

 

 

 

4. 그린빌딩 조성

실외 및 실내 녹화 기술개발

 

 

 

 

 

 

5.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ㆍ한국형 모델개발 및 실증연구

ㆍ품목연구 및 재배기술 개발

ㆍ산업화 추진

 

 

 

 

 

 

? 인프라 구축

 

 

 

 

 

 

 

 

1. 도시농업 육성법 제정

ㆍ법·시행령·시행규칙 제정

 

 

 

 

 

 

2. 도시농업 실태 조사

ㆍ16개 시도 실태 조사·분석

 

 

 

 

 

 

3. 도시농업포털사이트 구축

ㆍ도시농업 정보시스템 구축

 

 

 

 

 

 

4. 농사 및 텃밭관리 교육

도시텃밭참여자 등 교육(63천명)

ㆍ지자체 등 교육기관 지정 운영

 

 

 

 

 

 

5. 도시농업전문가 양성

ㆍ도시농업전문가 1,200명

ㆍ농과계 고교ㆍ대학 특성화 과정 신설(67개)

 

 

 

 

 

 

6. 기관별 네트워크 강화

민간단체협의회 운영

ㆍ도시농업공동체 등록

도시농업위원회 및 협의회 운영

 

 

 

 

 

 

7. 도시농업 홍보

ㆍ전국도시농업박람회 개최

ㆍ시․도별 나눔장터 개설

ㆍ도시농업 포럼, 심포지엄 개최

ㆍ홍보 동영상, 책자 제작 배포

 

 

 

 

 

 

 

벌거벗은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