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유실 피해와 유실 방지 대처법 - 1
(Organic Farm in City Association)
~ 미 완성 자료 입니다. (쉽고 편한 자료을 만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완성 될 때까지 의견 제시을 바랍니다)
평이랑이 만들어진 후 10년 이상 계속 이용하게 됨으로서 두둑의 흙이 고랑으로 흘러 내리는 문제의 고민 해결 입니다.
일반적으로 두둑이 비가 내리면 흙이 흘러 내리고, 작물 수확이나 심을 때에 흙이 흘러 내릴 수밖에 없어 고랑이 높아 지면서 두둑표시가 없어 짐으로서 작물 파종시나 주기적으로 이랑만들기의 힘든 노동의 문제도 있지만 토양 유실로 물과 바다까지 오염을 막는 대처가 필요 합니다.
경사지의 농지나 고랭지, 빗물로 흙이 유실이 많은 곳에 무경운(無耕耘ㆍ No tillage) 농사가 대안이지만 흙이 유실 되어 흘러 가는 쪽만이라도 무경운(無耕耘ㆍ No tillage)에 풀을 키워 흙의 유실을 막아주는 두둑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풀이 자란 두둑이 풀에 의하여 흙이 쓸려가는 것을 방패가 되어 흙의 유실을 막아주는 역할이 되어 줄 것입니다.
* 강원도 고랭지의 흙의 유실이나 최근 산간을 개간하여 농사짓는 농경지에 하천과 강으로 흙의 유실로 많은 피해을 막아주는 작은 실천이 유실되는 곳에 두둑을 만들어 풀을 키운다면 상당한 흙과 비료의 유실로 바다에 까지 오염의 위험을 줄일 수가 있습니다.
1. 평이랑이 만들어 진 후에 흙이 완전히 옷이 벗겨진 상태라면 빗물만이 아니라 사람이 걸어 다니는 것만으로도 훌러 내릴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텃밭이나 주말농장의 두둑들이 위 사진과 꼭 같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이 되면 다시 평이랑을 만드는 힘든 노동을 하게 됩니다.
2. 두둑 위에 유기물들로 멀칭이 되어져 있다면 빗물에도 흙이 쓸려 내려오는 것을 많을 수가 있습니다.
* 흙의 유실의 문제와 밭의 효율적운영,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칸막이를 이용한 평이랑만들기을 다음 사례 연재로 소개 됩니다.
3. 고랑과 두둑의 경사지에 사진과 같이 잡초가 자라도록하여 흙이 흘러 내리고 유실되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 두둑의 흙에는 유기물들이 흙을 잡아주고, 경사지는 잡초와 뿌리들이 흙을 잡아주게 됩니다.
4. 위 사진을 보시면 평이랑을 한번 만들고 나서 10년이라도 계속 사용 할 수 있다는 필자의 호언이 맞다 하실 것입니다.
* 두둑의 유기물 멀칭으로 벌레와 작은 소동물, 미생물들의 환경이 조성 되면서 지렁이들이 만들어 놓은 수 많은 구멍과 위층의 흙과 밑에층의 흙이 하나로 연결이 되면서 물 흡수력이 높아 지면서 시간당 100mm 폭우에도 쓸려가지가 않습니다.
* 두둑에 유기물멀칭과 지렁이등 생명들의 활동으로 미미하지만 흙 층이 높아져 갑니다.
5. 유기물 멀칭이 된 곳에는 빛이 부족과 생명이 살아 있으므로 잡초들이 발아도 잘 안되지만 잡초가 잘 자라지도 못합니다.
그러나 두둑과 고랑 사이의 경사지에는 흙에 옷이 벗겨져 있어 생명이 없기에 흙의 정찰대라는 잡초가 제일 먼저 자라게 되면서 곤충과 벌레, 작은 소동물과 미생물들의 또 다른 최적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 잡초 : 두둑 경사지의 풀을 뽑아 제거하면 안되는 이유가 흙의 생명을 키워주고 흙의 유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6. 평이랑 경사지의 풀이 작물을 압도할 때에는 낫으로 풀을 베어 두둑 위에 멀칭으로 돌려 줍니다.
* 풀이 작물에 피해을 줄수도 있지만 풀이 병충해을 대처하는 도움과 흙 환경조성 도움, 제일 힘든 노동이 되는 평이랑 만들기을 안해도 되는 도움까지 줍니다. (농사가꾸기는 도시유기농업 사례 연재 참고)
7. 경사지의 풀을 작물의 햇빛을 차단할 때에 베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요령이지만 꼭 지켜야 할 내용이 한날에 모든 물을 베어 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 풀을 한번에 없애게 되면 곤충과 벌레들의 환경균형이 무너지게 되어 베어낸 풀이 어느정도 자란 후에 한 고랑씩 교차로 베어 내거나 1/2씩 베어내는 요령이 필요 합니다.
2편 계속- 흙의 유실의 현장과 대안들이 계속 연재.
도시농업운동본부 & Ofica
(벌거벗은공화국 제공)
'밭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을 알게되면 자연과 삶의 생각을 바뀌게 합니다. (7) (0) | 2010.01.18 |
---|---|
유기농업 이렇게 하면 풀 걱정없이 농사가 가능하다 (6) (0) | 2010.01.16 |
유기농업은 심는 것도 다르다. (5) (0) | 2010.01.14 |
유기농업 도시 텃밭 만들기 (4) (0) | 2010.01.12 |
유기농텃밭이 도시에 푸른녹지을 만듭니다. (3) (0) | 201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