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월드컵, 기후보호를 위한 시험대 2010 남아공 월드컵, 기후보호를 위한 시험대 지난 6월 11일 개막한 남아공월드컵은 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돼 그 의미가 남다르다. 남아공은 ‘깨끗한 대중교통’을 표방하며 월드컵 레이스에 돌입했다. 2014년 월드컵을 앞두고 개최 예정국 브라질은 ‘생태친화적인 경기장’ 건설을 계..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20
기후변화 '독한' 꽃가루알레르기 가져온다 기후변화, '독한' 꽃가루알레르기 가져온다 이산화탄소 농도 높은 도시지역 독성 더 심해 [메디컬투데이 손정은 기자] 기후변화가 꽃가루알레르기의 독성을 높여 증상을 심화시키고 꽃가루알레르기 발생기간도 장기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도시지역에서의 꽃가루..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7
기후변화의 지구온난화로 에베레스트 등반 위험해졌다 지구온난화로 에베레스트 등반 위험해졌다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에베레스트 등반이 점점 위험해지고 있다는 세파의 증언이 나왔다. 네팔인 세파로서 8,850m 정상을 20차례나 등반한 아파에 따르면, 빙하와 눈이 녹아 불어난 물이 홍수처럼 쏟아져 내리면서 등반가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6
초보자도 쉽게할 수 있는 유기농텃밭 유기농텃밭 6월 초 모습 Ofica 밭갈이도 않하지만 비료도 넣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기물 멀칭으로 잡초걱정도 없이 곤충과 벌래들의 살기좋은 최적조건의 환경이 되어 병충해방재와 비닐멀칭할 필요도 없는 자연 유기농업으로 텃밭을 가꾸는 모습입니다. 작년 가을에 심은 양배추와 부로콜리, 마늘, 상.. 밭 만들기 2010.06.15
아프리카 탕가니카 호수 수온 최고치 탕가니카 호수 수온 최고치 기록해 탄자니아와 콩고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이칼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저수량이 많은 담수호 탕가니카 호수의 수온이 지난 90년 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논문이 네이쳐 지오사이언스지에 실렸다. 이 호수의 수온은 지난 90년 간 약 0.9℃ 상승해 지난 1,5..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4
멕시코만 원유유출 엑손발데즈 피해 뛰어넘어 멕시코만 원유유출, 엑손발데즈 피해 뛰어넘어 5주 넘게 지속되고 있는 미국의 원유유출사고는, 지난 4월 20일 밤 멕시코 만 해상에서 작업 중이던 ‘딥워터 호라이즌’이라는 이름의 석유시추시설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하면서 시작됐다. 이 사고로 현장에서 근무하던 직원 11명이 실종됐으며,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3
물의 재앙을 막기 위한 제안 제초제와 물피해 (2) Ofica 도로에 제초제로 인하여 풀이 없어지면서 빗물로 인하여 흙들이 쓸려간 현장 모습들입니다. 제초제 사용을 개인농지나 사유지에 살포에 대하여 금한다는 것은 지금으로서는 한계지만 도로와 공유지에 제초제사용을 금지하는 정부의 법제화나 자치조례는 공감대와 방법을 찾..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1
21세기에도 계속되는 베트남 고엽제의 앙몽 제초제 환경과 물 피해 (1) Ofica 도로에 처참하게 살포된 제초제가 안다까움도 아니라 이제는 당연하게 살포로 인식되는 무서움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이 더 무섭습니다. 베트남 전쟁에서 적을 섬멸하기 위하여 정글의 나무와 풀을 제거하던 고엽재의 피해가 지금도 월남파병 장병들과 2세에 까지 끼치는..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10
바다 수온상승이 두려운 이유 바다 수온상승이 두려운 이유 바다의 수온은 육지의 기온보다 쉽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 현상의 관찰에 훨씬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네이처지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수집된 바다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다가 꾸준하게 더워..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09
제주 도심길을 걸으며,,,,,,,,,, 제주시 도심길을 걷다 Ofica 따스한 봄날 제주시 아라동 매전마을 주변 관찰지역과 어린이집 텃밭을 둘러보고 오등동길을 따라 아라초등교 사거리에서 5.16도로와 제주시 해안 탑동으로 이어지는 도심중심 대도로변을 따라 남문로까지 걸은 후에 돌아 터미널까지 걷는 길 이었습니다. 유수암단지 마을 .. 이런저런 삶 이야기 201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