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기후변화협상 합의 ‘2011년에나 가능’ UN기후변화협상 합의 ‘2011년에나 가능’ 이보 드 부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은 “올해 12월에 열리는 칸쿤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2011년에 새로운 기후변화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할 필요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멕시코 칸쿤에서 열리는 회의에서는 2011년 협상 타결..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4.18
사막에서 얻는 태양열, 에너지 위기의 탈출구인가? 사막에서 얻는 태양열, 에너지 위기의 탈출구인가? 그린피스에 따르면, 사막에 1만개의 태양열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인류가 필요로 하는 전력수요의 1/4을 충당할 수 있다. 사하라 사막 면적의 2% 규모의 태양열 발전설비만으로도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인류 모두의 전력수요를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4.13
경제침체에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 경제침체에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 경제침체로 많은 국가들에서 산업생산에 제동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온실가스 농도는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플린 기지에서 측정한 이산화탄소는 393.71ppm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같은 시기인 3월 첫 2주 동안의 393.17ppm에 비해 약간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4.02
친환경 옥수수 에탄올, 세계 기후에 부정적 영향 친환경 옥수수 에탄올, 세계 기후에 부정적 영향 옥수수 에탄올의 생산이 지닌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논문이 발표됐다. 바이오사이언스지(BioScience)에 실린 미국 퍼듀대학 연구자들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옥수수 에탄올의 생산과정에서 간접적으로 기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바이오연료 사용에 따..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4.01
탄소배출권 초과할당으로 횡재한 기업들 탄소배출권 초과할당으로 횡재한 기업들 유럽의 탄소배출권거래제가 예기치 않게 거대 기업들에게 횡재를 안겨준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의 비영리 탄소시장정책 분석기관인 샌드백(Sandbag)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의 10대 기업들이 2008년 초과할당분으로 이익을 취득한 액수는 6억8천만 달러 규..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3.31
기후변화의 원인, 인간인가 자연인가? 기후변화의 원인, 인간인가 자연인가?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자연적인 변화인지에 대한 논란은 오래된 것이다. 이 논란은 2007년 IPCC 4차보고서의 발간으로 종식된 것처럼 보였지만 최근 들어 다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사건으로 촉발되었다. 작년 11월 영국 과학..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3.29
기후변화시대 인간의 얼굴 [추천] ‘기후난민’ - 기후변화시대 인간의 얼굴 마이클 내쉬(Michael Nash) 감독의 ‘기후난민’은 올해 26회를 맞은 선댄스영화제의 공식상영작이다. 내쉬 감독은 3년 전부터 기후가 정말 변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후변화가 어떻게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관심을 갖고 영화를 준비해왔다. 그가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3.27
건강한 학교급식을 먹을 권리 건강한 학교급식을 먹을 권리 16 13:07 | Posted by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최근 미국에서는 재미있는 광고 하나가 지하철역에 나타났습니다. 8살 재스민 메시아 어린이가 자신의 플로리다 학교급식에 대해 불평을 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딸들은 학교에서 건강식을 먹는데, 나는 왜 먹을 수 없나요?" 좀 더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3.25
원자력이 기후변화 해결책? 이의 있습니다! 원자력이 기후변화 해결책? 이의 있습니다! 나라 안 소식 | 2010/01/19 21:08 | Posted by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기후천사 원자력 발전이 친환경 발전 방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이 탄소저감에 방해다 될 것이라는 의견..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