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내년 최우선 국정과제는 에너지 정책 쇄신... 오바마, 내년 최우선 국정과제는 에너지 정책 쇄신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내년 국정의 최우선 목표는 에너지 정책을 대폭 쇄신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 이래 기후변화 분야 정책에서 거의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매우 애석하게 생각..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10.25
석유기업 로비에 가로막힌 기후변화법... 석유기업 로비에 가로막힌 기후변화법 미국에서 기후변화법이 미 하원을 통과한 것은 작년 6월이다. 민주당에서 44표의 반대표가 나오면서 찬성 219표 대 반대 212표로 과반수를 겨우 넘겼지만 이 법의 하원 통과는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한 사건이었다. 하지만 기후변화법 통과에 새로운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10.21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운송수단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운송수단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대다수 사람들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운송수단으로 비행기를 지목할 것이다. 속도와 이동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비행기는 가장 많은 화석연료를 소비하는 운송수단..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10.08
프랑스, CO2 감축 실패한 것으로 드러나... 프랑스, CO2 감축 실패한 것으로 드러나 프랑스는 지난 20년 동안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프랑스 지속가능개발부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7년 까지 CO2 배출총량은 4억 3,800만 톤에서 4억 3,900만 톤으로 다소 증가했다. 생산과 소비 분야에서..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9.13
지구온난화를 부인할 수 없는 10가지 증거... 지구온난화를 부인할 수 없는 10가지 증거 지난 10년간 지구의 기후는 어떻게 변해 왔을까? 미 해양대기청(NOAA)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는 이에 대한 답을 담고 있다. 보고서는 10가지 핵심지표를 통해 지구온난화는 더 이상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없는 확고한 사실임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0..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9.01
온실가스 감축목표치 분석 - 이대로라면 기온 4℃ 상승은 불가피... 온실가스 감축목표치 분석 - 이대로라면 기온 4℃ 상승은 불가피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감축목표치를 분석한 결과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은 평균 4℃(7℉)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기온이 4℃가량 상승하면 지구상의 많은 생물 종이 사라지게 되고 그린란드의 빙하는 거의 모두 소실될 것이다. 작년 12월..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8.03
이라크 전쟁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했을까?... 이라크 전쟁은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했을까? 전쟁이 앗아가는 수많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 앞에서, 전쟁의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자칫 무례한 일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현대의 군대는 전쟁터만이 아닌 일상에서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한다. 전쟁을 위해 방대한 양의 에너지를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7.28
기후변화 관광운영자의 역할 기후변화 관광 운영자의 역할 유럽의 관광연구소 RESPECT와 자연의 친구들(Naturefriends International)이 공동으로 ‘기후변화 완화에 있어서 관광 운영자의 역할’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관광회사들은 기후변화 대응의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으며 관광상품 생산과 소비자에..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7.05
재활용으로 쓰고 난 포장지로 패션가방 만든다 자원 선순환 브랜드, 세계 곳곳에서 판매 버려지는 자원으로 가방과 소품으로 만드는 생활 속 환경 실천, 자원선순환 브랜드는 일부 선진국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터치포굿’이 현수막 재활용으로 유명하다. 폐기된 광고 현수막을 받아 가방 제작이 한참이다. 필리핀 여성들이 주스 포..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