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처럼 만든 유럽 강 건강성 평가 전부 5등급” [신동호가 만난 사람] “4대강처럼 만든 유럽 강 건강성 평가 전부 5등급” ‘4대강’을 아파하는 하천생태학자 안병옥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 거짓말에도 색깔이 있다. 의사가 환자에게 하는 선의의 거짓말은 텔레비전 아침드라마 제목으로도 떴던 ‘하얀 거짓말’이다. 반대로 ‘검은 거짓말’은..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7.29
‘양날의 칼’ REDD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양날의 칼’ REDD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지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개최된 ‘기후와 산림회의’에서는 선진 7개국이 '산림개간 및 훼손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REDD)' 프로젝트를 위해 40억 US달러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 기금은 개도국들의 산림을 보호하는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UN도..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7.14
에너지 빈곤은 기본적 인권문제 취사와 냉난방 문제 외에도 영양부족·신체질환 등 동반 선진국선 간접지원 방식 늘려 별도 복지법 만들어 지원해야 [한겨레-싱크탱크 맞대면 기고글] 복지정책이 잘 발달된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에너지빈곤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을뿐..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29
로컬 푸드로 기후변화 막는다 로컬 푸드로 기후변화 막는다 최근 영국의 민간단체 ‘Making Local Food Work’는 <로컬푸드와 기후변화-커뮤니티 푸드 기업>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로컬푸드의 활성화가 기후변화에 대응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영국에서 농업분야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약 20%를 차..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05
‘인간만 남은 지구’가 가능한가? ‘인간만 남은 지구’가 가능한가? 지난 2002년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을 체결함으로서 2010년까지 생물다양성 감소 속도를 줄이자는 목표를 세웠다. 생물다양성 감소 속도는 과연 줄어들었을까? 최근 사이언스지에 게재된 한 논문이 분석 결과를 담고 있어 주목된다.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03
2050년, 유럽 재생가능에너지의 비전 2050년, 유럽 재생가능에너지의 비전 모든 에너지를 재생가능에너지에서 얻는 것은 정녕 불가능한 일일까? 유럽재생가능에너지협회(European Renewable Energy Council, EREC)가 그 답을 내놨다. 이 협회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 ‘RE-thinking 2050’를 통해 2050년까지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재생가능에너지가 차지하는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02
국무부 기후행동 보고서 발간 국무부 기후행동 보고서 발간 미국 국무부가 193페이지에 달하는 기후행동보고서를 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UNFCC 사무국의 권고에 따라 다섯 번째 펴낸 보고서이다. 보고서 초안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긴급한 행동이 시작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고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5.25
지구의 날, 반체제운동의 뿌리에서 주류로 지구의 날, 반체제운동의 뿌리에서 주류로 지구의 날은 40년 전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1969년 게이로 닐슨 상원의원이 캘리포니아 오일유출사건을 계기로 집회를 연 것이 계기였다. 수 만 명의 젊은이들이 뉴욕 5번가로 모여들었으며 시민들도 쓰레기를 줍고 자전거를 타는 행동으로 합류했다. 지구의..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5.24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의 원인은?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의 원인은? 지난 3월 20일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로 초래된 피해액이 이미 수십조 원에 달하고 있다. 유럽의 항공 마비사태를 불러온 이번 화산폭발의 원인은 무엇일까? 이번에 화산이 폭발한 곳은 아이슬란드 남부 빙하지역에 속한다. 이는 일부 과학자들이 이번 화산폭발과 빙하와..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5.15
기후 변화에 따른 농업위기, 두고만 볼 것인가? 기후 변화에 따른 농업위기, 두고만 볼 것인가 서울 낮 최고기온 29.8℃, 충주 33.5℃, 영덕 34℃ 한 여름날 기온이 아니다. 5년 전, 4월30일 봄날의 기온이다. 이날 전국 22곳에서 역대 최고로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반대로 올 봄에는 이상하리 만큼 저온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제대로 된 햇빛을 본 적이 언..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