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기후변화와 댐 - 4대강사업 옹호론자들이 읽어야할 논문 두 편...

치유삶 2013. 9. 9. 08:09

기후변화와 댐 - 4대강사업 옹호론자들이 읽어야할 논문 두 편

 

대규모 수력발전을 청정에너지로 분류해도 좋은 것일까? 세계 곳곳에 세워진 소형 댐들은?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국제사회의 전문기관들은 수력발전을 재생에너지로 분류한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분류 방식에 도전하는 두 편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강을 막아 건설된 수백만 개의 소형 댐들도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를 내뿜는 배출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 7월 미국 화학학회(ACS)가 펴내는 저널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등재된 한 논문에 따르면, 세계에 산재되어 있는 5만여 개의 소형 댐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메탄을 방출한다. 댐으로 막혀 호수로 변한 구간에서는 물에 잠긴 식물들의 잔해와 상류에서 흘러들어온 유기물질들이 썩어 엄청난 양의 메탄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메탄은 같은 농도라면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기여도가 25배에 달하는 강력한 온실기체다.

 

 

 

연구진은 수심 15미터 이하인 유럽의 6개 댐이 방출하는 메탄의 양을 조사한 결과에 근거해, 댐으로 막힌 강들은 전 세계 담수가 방출하는 메탄가스를 7%까지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력발전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지 않고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라는 인식 덕분에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댐 건설은 물 흐름 차단에 따른 강 생태계의 훼손, 멸종위기 동식물 등 희귀종의 감소, 마을 이주에 따른 사회적 갈등 등 수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댐들은 주로 가난하고 문맹률이 높은 지역에 건설되지만 생산된 전력은 도시 등 소비지로 보내는 등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이런 점 때문에 많은 국가들은 대형 댐 건설의 대안으로 소형 댐 건설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소형 댐은 문제가 없는 것일까? 지난 6월 수자원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 Water Resources Research에 실린 미국 오리곤 주립대학 연구팀의 논문 역시 그렇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1메가와트의 전력 생산을 가정할 때 지류에 건립된 작은 댐들은 누적 환경영향 면에서 대형 댐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소형 댐들의 누적 영향은 대형 댐들의 100배에 달한다.

 

 

dams-store-methane.gif

 

 

오리곤 주립대학 연구팀의 연구는 생물, 생태, 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소형 댐이 야기하는 문제점을 대규모 댐과 비교한 첫 번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중국 운남성의 누강(Nu River) 유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이곳은 50메가와트 미만의 전력을 생산하는 수많은 소형 댐들이 경사가 급한 지류에 건설된 지역이다. 중국에는 이미 75만개의 댐이 존재하며, 지금도 매일 댐 1기 꼴로 건설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소형 댐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리들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대형 댐은 건설 과정과 그 결과에 관심이 높은 편지만, 소형 댐의 경우에는 관심이 부족해 문제가 생기더라도 오래도록 방치하는 사례가 잦다는 것이다. 

 

4대강에 건설된 보(실은 댐)의 부정적인 영향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앞에서 소개한 논문 두 편의 내용을 고려하면, 지금까지 알려진 4대강 보의 폐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인지도 모른다.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판단해야할 문제지만, 4대강은 녹조라떼 유발자를 넘어 거대한 메탄 배출원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