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차가운 바다를 향해 떠나는 어류들...

치유삶 2013. 7. 1. 07:15

차가운 바다를 향해 떠나는 어류들 - "온난화로 열대해역 텅 비게 될 수도”

 

과거 서민들의 식탁에 자주 오르던 조기, 명태, 고등어가 귀한 생선 대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근해에서 잡히던 어족이 씨가 마르면서 이젠 먼 바다로 나가지 않으면 이들을 구경할 수 없는 처지가 된 것이다. 당연히 어획 비용이 증가해 생선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수산자원 고갈의 주원인으로는 무분별한 남획이 첫 번째 목록에 올라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

 

 

www.tumblr.com

 

하지만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지에 발표된 논문은 지난 40년간 수온 상승이 전 세계 수산업에 큰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학술적으로 밝혀내 주목된다. 모든 생물이 그렇지만 특히 바다생물들은 종에 따라 선호하는 온도가 다르다. 따라서 바닷물 온도가 변하게 되면 생물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온도조건을 찾아 떠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수온 상승은 특히 열대지방 수산업에 큰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높다. 수온이 증가하면 열대성 어류들이 고위도 온대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열대해역이 텅 비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전 세계 수산업의 피해규모를 추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수산자원 조사는 비용도 많이 들고 전문 인력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선진국에서만 이루어져 왔다. 개발도상국들은 수산자원 조사보다는 어획통계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획통계를 이용해서 수산자원을 평가하는 방법은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번에 네이처지에 발표된 연구를 주도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 연구팀은 전 세계 어획통계량을 이용해 수산어종의 변화를 알아내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했다. 어획 평균수온(mean temperature of catch)으로 불리는 이 기법은 특정 해역에서 잡힌 물고기들이 선호하는 수온과 어획량을 함께 고려한 상태에서 모든 어종의 선호 수온을 가중 평균해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을 52개 광역 해양생태계의 990개 어종에 적용한 결과, 바다 표층수온이 증가하면서 어획 어종이 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0130515_Fish_changesin_MTC_SST_Eurasia.png20130515_Fish_changesin_MTC_SST_Americas.png 20130515_Fish_changesin_MTC_SST_Oceania.png

 

1970-2006년 52개 광역 해양생태계의 어획 평균수온(MTC)과 바다표층수온(SST) 변화

 

이번 연구 결과가 중요하긴 하지만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생태계를 송두리째 변화시키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아직은 섣부르다. 어획통계는 어종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선호도, 어업기술, 국가 간 어업협정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바다에 살고 있는 어종과 개체수가 어획통계와 100%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열대해역의 수산업이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인다. 열대해역의 수온이 상승하면 온대해역으로 이동하는 어종들은 있지만 열대해역으로 들어오는 어종은 없기 때문이다. 열대해역 인근 국가들은 대부분 식량의 수산물 의존도가 높은 편이어서 열대해역이 공동화되면 당장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가. 중국이나 동남아에서 수입된 생선들이 우리들의 식탁을 차지한 지 오래다. 식탁에 부는 기후변화의 바람은 갈수록 거세질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시시각각 입맛을 바꿔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류종성 교수,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운영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