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북극해 관측이 시작된 이래 빙하면적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2007년 여름에는 역대 최저 면적을 보였고, 올해 3월에는 관측 이래 같은 달 면적으로는 두 번째로 축소된 빙하면적이 확인되었다. 1979년 이래 북극해 빙하의 3월 면적은 10년에 2.7%씩 감소하고 있는 중이다.
북극해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해를 지나는 화물선 항로의 개척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영국까지 배편을 이용할 경우 북극해를 통과하게 되면 항로 길이가 지금보다 약 30% 정도 단축된다. 이런 점 때문에 각 국의 해운물류업계는 북극항로의 개발가능성을 놓고 열심히 주판알을 튕기고 있다.
하지만 북극해가 열리게 되면 바다생태계는 큰 혼란에 빠지게 될 전망이다. 유럽의 과학자들에 따르면, 대서양에서 이미 80만 년 전에 멸종했던 식물플랑크톤들이 다시 발견되고 있다. 이들은 태평양에 살던 종들인데 북극해가 열리면서 캐나다 북극연안을 거쳐 북대서양으로 건너오고 있는 것이다.
배핀(Baffin) 섬 북단을 헤엄치고 있는 범고래들(Ⓒ Gretchen Freund/Handout)
작년 여름에는 지중해 이스라엘 앞바다에서 회색고래(grey whale) 한 마리가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1700년대에 무분별한 포경으로 멸종한 이래 지중해에서 회색고래가 발견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번에 발견된 회색고래 역시 태평양에 살고 있었지만 캐나다 북극 해안가를 따라 북대서양을 거쳐 지중해까지 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영화 ‘프리 윌리(Free Willy)’에 등장했던 범고래(killer whale)는 상어, 고래, 물개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고래로 알려져 있다. 2007년 이래 북극이 녹아내리면서 범고래의 행동반경은 북극해까지 확장되었다. 그 결과 북극에 살던 고래류(narwhals, belugas, bowhead whales)와 물개류가 범고래들을 피해 해안가로 몰려드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했다.
남아메리카 태평양 앞바다에만 서식하던 대형 훔볼트 오징어의 서식범위도 점차 북상해 알래스카 해안까지 넓어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종도 곧 캐나다 북극해를 통과해 대서양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측한다. 몸무게가 45kg에 달하는 훔볼트 오징어는 대서양 해양생태계에는 반갑지만은 않은 손님이 될 것이다.
과거에도 수에즈 운하가 건설되면서 홍해로부터 유입된 외래종들이 지중해 생태계를 교란한 사례가 있었다. 북극해 빙하가 녹게 되면 북극해는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거대한 수에즈 운하가 될 가능성이 크다. 태평양에서 캐나다 북극해안을 돌아 유입된 종들은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Newfoundland)에서 대서양 생물들과 만나게 된다. 공교롭게도 이 지역은 약 1천 년 전에 유럽 탐험가들이 북미대륙 인디언들과 처음 마주쳤던 곳이기도 하다(류종성 한국해양연구원 연구전략실 선임연구원).
'건강과 생태 이야기 > 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식의 딜레마: 고기 덜 먹기가 자동차 안 타기보다 나은 이유... (0) | 2011.09.02 |
---|---|
태양광 패널 설치하면 실내온도 낮춘다... (0) | 2011.08.31 |
오스트리아 우체국, “모든 우편배달을 탄소중립으로”... (0) | 2011.08.29 |
평창 겨울올림픽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2) : 탄소 배출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0) | 2011.08.28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집, '에코 큐브 하우스'... (0) | 201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