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수온상승 최소화 135년 전부터 시작됐다... 바다 수온상승 최소화 135년 전부터 시작됐다 지구로 들어오는 복사에너지의 90%가량을 저장하는 곳은 바다다. 바다 표면으로 흡수된 열은 해류와의 수직혼합에 의해 바다 전체로 전달된다. 따라서 기온이 올라가면 바다 수온도 함께 상승하는 것이 당연하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지난 백 ..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2.04.30
고농도 이산화탄소가 물고기 뇌기능 손상의 원인... 고농도 이산화탄소가 물고기 뇌기능 손상의 원인 얼마 전까지 지구온난화가 바다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두 가지로 알려져 왔다. 첫 번째는 수온 상승의 영향이다. 수온이 올라가면 변온동물이 대부분인 바다 동물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수온을 찾아 이동해야 한다. 두 번째는 바다가 산..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2.03.05
지구온난화로 수컷 물고기가 많아진다... 지구온난화로 수컷 물고기가 많아진다 Ⓒ George Stoyle@flickr 3년 전 스페인 바르셀로나 해양연구소의 피페러(Piferrer) 박사 연구팀은 수온이 4℃ 상승하면 송사리의 한 종류인 대서양 실버사이드(Atlantic silverside)의 수컷 비율이 98%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다. 다행스럽게..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2.01.21
바다 수온상승이 두려운 이유 바다 수온상승이 두려운 이유 바다의 수온은 육지의 기온보다 쉽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 현상의 관찰에 훨씬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네이처지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수집된 바다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다가 꾸준하게 더워.. 건강과 생태 이야기/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201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