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세계야생동물기금(WWF)이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 시작했던 '지구시간(The Earth Hour)'은 지구를 위해 한 시간 동안 전등을 끌 것을 제안하는 캠페인이다. 올해에는 지난 3월 27일 저녁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120여개국 4,000여개 도시가 참여했다.
하지만 전등 끄기 캠페인의 한계도 있다. 지난해 싱가포르는 지구시간 행사를 통해 42MW의 전력을 절약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양은 싱가포르 전체 전력 사용량에 비하면 극히 미미한 것이다. 시민들은 전등을 꺼 전력 사용량의 1% 정도를 줄였지만, 기업들은 평소대로 에너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절대적인 양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두바이에서의 ‘지구시간’ 2010 사진출처: 워싱턴포스트
이러한 '리바운드 효과'는 지구시간 캠페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지구를 위해 한 시간 동안 '에너지를 절약했다'는 생각이 '이만큼 절약했으니까 이건 좀 써도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이어지게 되면, 에너지 절약의 역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전등을 끄는 대신 TV를 틀어놓는다든지, 지구시간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자동차를 타고 외출한다면,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은 의미 없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고 싶은 사람들은 자신의 절약 행위가 혹 또 다른 에너지 소비를 유발하지는 않는지 늘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윤주 연구원).
1년에 한 시간 정도 전등을 끄는 이 캠페인의 실제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전등 하나 쯤이야 특별한 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전등 한 개를 끄는 것은 기대 이상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전구 한 개를 밝히는데 단위 100의 석탄이 필요하다고 가정해보자. 이 중 40%는 석탄을 태워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 35%는 전기를 가정까지 보내는 과정에서 고스란히 손실된다. 실제 전구를 밝히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2%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등 하나를 끄면 그 전구를 밝히는데 필요한 전력량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송하고 변환하는데 필요한 더 많은 양의 에너지원을 절약하는 셈이 된다.
'지구시간'의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리바운드 효과'는 에너지 저감기술이나 정책이 의도와 달리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높여 에너지 절감량을 상쇄하는 효과를 일컫는다. 백열등을 고효율 형광등으로 교체한 사람이 전기세에 대한 걱정을 줄이게 되면서, 아껴 써야겠다는 생각을 덜 하게 된 나머지 에너지를 이전보다 더 많이 쓰게 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건강과 생태 이야기 > 생태적 삶과 & 환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일 델타의 운명 기후에 달렸다 (0) | 2010.05.01 |
---|---|
일자리 만들어내는 공장, 저탄소 에너지산업 (0) | 2010.04.30 |
'쉬플리'로 공차율 줄이는 유럽 국가들 (0) | 2010.04.26 |
G-20의 청정에너지 투자 성적표 (0) | 2010.04.22 |
태양의 활동과 ‘소빙하기’의 미신 (0) | 201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