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치열한 경쟁에서이길방법은 두가지다. 남보다 좋은제품을싸게만들어 원가를 낮추는 것이다. 또하나는기존에존재하지않던시장을 창출해내는것. 성공한농가는틈새시장을 공략하거나 없는 시장을 새로 만들어냈다. 머쉬라인은 다양한 버섯 가공식품을 개발해버섯을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보성녹차는 누구도 생각해내지 못했던녹차 캔음료를 최초로 선보였다. 여기에 돼지, 닭, 쌀 등에 녹차를 접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농산무역은파프리카라는새로운상품을개척해국내외시장을두드렸다.

2.자기 만의 기술, 노하우가 있다 기존 재배법, 사육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정체이다. 새 기술을 개발해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성공의 필수 요건이다. 새 기술을 통해 품질을 높이거나 생산량을 늘리거나 원가를 절감하거나 신상품을 만들어냈다. 한민농장은 한우의 영양관리를 위해 완전혼합사료를 개발했다. 큰사람농장은 항생제 대신 사용할 봉침, 된장 면역증강제, 미생물 등을 신규개발해 사용했다. 박영복 사과는 밀식재배법, 결실지하수형을 통해 박영복 재배법을 확립했다. 머쉬라인은 생산자동화,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해 일정한 품질의 버섯생산 기반을확보하고 획기적인 원가절감 효과를 거뒀다. 피엔라이스는 독창적인 이온수공법, 저온저장법으로‘5℃ 이온쌀’이라는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3.비용 절감 아이디어로 승부한다 우수농업경영체의 주요 성공 포인트인 독자적 기술과 노하우는 비용 절감과도 관계가 깊다. 머쉬라인은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인건비를 크게 줄였다. 한민농장은 품질 좋은 사료를 싸게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꾸준히 개발했다. 박영복사과는 친환경농법과 과수의 결실을 앞당기는 농법, 자주 쓰지 않는 농기계는 빌려 쓰는 방법으로 비용을 줄였다. 피엔라이스는 사용하지 않는 폐터널을 저온저장고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로 저장과 물류비용을절감했다.

4.규모화에 성공했다 농업경영체 성공 요인 중 중요한 하나는 규모화를 통해 질 좋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하고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다. 수익은 재투자의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머쉬라인은 버섯 생산과 재배를 위한 자동화시스템을 통해 규모화를 이뤘다. 농산무역은 파프리카 생산농가를 설득, 하나로 통합해냈다. 결국 초기에 규모화를 이뤘고 이를 통해 시장에서교섭력을 확보했다. 일본의 구매처와 직거래가 가능한 수준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체계로 출발한 것이 성공의 기본 요소로 자리 잡았다. 피엔라이스, 소사뜰 등은 인근 농가와의 계약, 위탁 재배를 통해 규모화를 이뤄나갔다.

5.품질이 생명이다 생산량이 적더라도 품질을 최우선으로 적용했다. 홍로원은 A급 대과(큰 사과)의 생산률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최소 80%가 A급 대과다. 천지원은 다품종 소량 재배를 원칙으로 한다. 한민농장은 일반 한우에 비해 마리 당 100만원 정도 더 비싼 가격에 공급된다. 박영복사과는 박영복재배법으로 질 좋은 사과를 수확한다. 좋은 사과를 싸게 판매해 저렴한 수입 농산물에 대비해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6.명품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했다 품질을 우선하는 전략과 비슷한 맥락이지만, 고품질의 상품을 생산하는 데 그치지않고 브랜드화에 성공, 마케팅 초기 기반을 갖췄다. 홍로원은 백화점과 함께 '수퍼 사과'라는브랜드를 개발했다. 큰사람농장은 자연에 가까운 돼지고기 '루쏘' 브랜드를 출시했고 도드람양돈조합에 최상품 고기를 공급하고 있다. 머쉬라인의 가공식품은 '웰빙 식품'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소사뜰쌀, 피엔라이스 5℃ 이온쌀은 대표적인 고급 쌀 브랜드다.

7.소비자 만족이 최우선이다 품질을 우선하는 것은 성공한 농업인의 공통적인 특징인데 이들은 상품의 현재 품질에 만족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항상 소비자 요구에 귀를 기울인다. 피엔라이스는 신선하고맛 좋은 쌀을 공급하기 위해 개발한‘5℃ 이온쌀 개념’을 발전시켜‘냉장고에 넣어먹는 쌀’을 출시했다. 생산과 가공뿐 아니라 유통과 판매까지 철저히 신선도를 유지하는 콜드체인시스템을 도입했다. 소사뜰은 소비자 개개인의 입맛에 부응하는 즉석 도정 현미를 선보였다.
농산무역은 일본 유통업체와 10년 이상 직거래 관계를 유지하면서 최종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요구 조건에 항상 귀를 기울여 왔다. 보성녹차영농조합법인은 캔 음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체크해 맛 개선에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반영했다.

8.친환경 농업은 기본이다 10개 농업경영체가 열 한 가지 특징을 모두 똑같이 지닌 것은 아니다. 각기 다른 장점과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농업에 대한 믿음 만은 모든 농가의 공통사항이다.
생산물의 안전은 물론, 나아가 땅을 살리고 농업 전체를 살리는 친환경농업을 실천하고 있다. 농산무역은 천적을 이용해 해충을 잡고, 소사뜰은 여러 가지 제초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연구해 실천했다. 보성녹차영농조합법인은 부직포를 덮어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고 손으로 풀을 뽑는다. 박영복사과는 보리짚과 밀짚을 발효시킨 퇴비와 기름기 없는 왕겨를 사용한다. 천지원은 유기농법이 지금처럼 활발해지지 않은 1990년부터 유기농법을 적용, 생산했다. 큰사람농장은 항생제 무투약 사육법을 전파했다. 홍로원은 사과나무에서 얻은 것을 사과나무에 돌려주는 환원순환농법을 시도하고 있다.

9. 유통과 마케팅의 취약점을 극복했다 농업경영체에게 적당한 판로를 뚫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가장 어려운 문제이다. 자본이 확실히 뒷받침되지 않아 마케팅은 꿈도 꾸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공한 농업경영체도 아직 유통과 마케팅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 그럼에도 몇몇 농업경영체는유통과 마케팅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깨닫고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진행했다. 소사뜰은 인터넷 쇼핑몰을 활성화해 고품질 쌀의 판로로 활용했다. 피엔라이스는 경남 친환경쌀 클러스터를 통해 유통 취약점을 극복해나갈 계획이다. 천지원은 직접 경영하는 직영점을확장하고 소비자 회원에게 소식지를 만들어 보낸다.

10. 연구개발비는 아낌없이 재배법이나 사육법 개선을 위해서, 품질 향상을 위해서, 새로운 상품을 선보이기위해서 끊임 없이 연구개발에 투자한다. 아까워하지 않는다. 소사뜰은 인근 농가와 쌀 연구회를 설립,운영 중이다. 박영복사과재배연구소는 묘목으로 과수원 만드는 방법을 연구했다. 박영복 대표는 해외 농장 견학을 아주 중요한 일정으로 삼는다. 피엔라이스는 자체 연구소를 통해 지속적으로 먹는 쌀을 점검, 개선하고 있다. 머쉬라인은 연구소를 법인화했고, 현재 3년 후 사용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성공한 농업경영인은 혼자서 모든 것을 하려고고집하지 않는다. 인근 농가, 대학, 기업 등과 손잡고 좋은 기술,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머리를 맞댄 것이다.

11. 못 말리는 고집의 소유자이다 혼자서 모든 것을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옳다고 믿는 것에 대해서는 흔들림이 없다. 때로는 주위의 걱정, 비난을 감수하지만 자신의 신념을 따랐다. 남들과 다른 기술을 개발하고 남들이 하지 않는 상품을 출시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굳은 신념과 신념을 지키는 고집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품성 중의 하나이다. |